존재한다는 걸 느낄 때는 니체의 글을 볼 때보다 미스터 빅의 오래된 노래를 들을 때가 나는 존재한다고 느낀다. 틴에이저, 십 대에 덕질의 문을 열게 한 밴드 중 한 밴드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친구도 몇 없었지만 시끄러운 헤비메탈을 듣고 난 뒤부터는 더욱더 친구들이 없었다. 그래도 취미가 비슷한 인간들은 어디에나 꼭 있기 마련이라 먼지 같은 애들과 메탈밴드들의 소식을 주고받으며 이야기를 하며 보냈던 추억 때문인지 오래된 노래를 들으면 오래된 책을 읽을 때보다 존재라는 것에 좀 더 밀착되는 것 같다. 그래서 노래는 사라지지 않는구나, 없어질 수 없구나 같은 쓸데없는 생각을 한다.


사실 스웨이드, 엑스제팬의 히데, 라디오헤드나 곤센로즈, 메가데스, 본조비, 메탈리카가 나의 의식 한 구석에 뿌리를 내리고 단단하게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서 여타 포이즌, 뎀 양키즈, 파이어 하우스나 미스터 빅이 의식의 자리에 들어오기는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스터 빅의 말랑한 곡들이 아닌 가차가 폭주하는 듯한 노래들은 내내 듣고 싶어서 앨범을 마구마구 돌려서 들었다. 요컨대 데디 부라더 러버 리럴 보이 같은 곡은 잔상처럼 내내 따라다녔다.


무엇보다 케이트 블란쳇을 떠올리게 하는 소녀소년한 얼굴의 애릭 마틴이 내지를 때 나오는 그 허어스이키한 보이스는 넘나 매력적이었다. 게다가 드릴 공수 연주를 선보였다. 우리끼리는 꽤나 회자되는 이야기였다.


이 음악이라는 게 너무나 기묘해서 술을 마시고(술 안 마신 지 너무 오래되었지만) 미스터 빅의 음악을 듣고 있으면 몸이 붕 떠서 엑설런트 어드벤처처럼 과거로 기가 막히게 도달해서 미스터 빅의 음악을 들으며 몸이 부서져라 폴더폰처럼 반으로 접었다 폈다 하고 있는 주옥같은 상황이 펼쳐진다.


기묘한 일이지만 미스터 빅은 여자애들에게도 인기가 많았다. 잘생긴 존 본조비보다 더 존잘인 포이즌보다 미스터 빅이 인기가 좋았다. 당연하게도 애릭 마틴의 얼굴과 서타일 때문이었다. 물론 모든 여자들에게 인기가 있었다는 건 아니겠지만 말이다.


이런 스타일이 요즘에 다시 유행하는 거 같다. 뉴진스가 일단 온통 그 붐에 불을 붙였다. 일전에 본 겨울연가의 준땅이가 민형이 되었을 때 그 청바지를 요즘 여기저기서 입고 다니데.


미스터 빅 같은 밴드를 LA 메탈이라고 하는데 헤비메탈보다 좀 말랑말랑하다고 해서 편애를 받았지만 노래들이 아주 좋다. 노래가 좋지 않은데 LA 메탈이 인기가 많을 수가 있나.


그러니까 미스터 빅 같은 밴드는 강력한 헤비 한 사운드뿐만 아니라 팝 발라드까지 다 어울리는 밴드다. 유튜브를 찾아보면 무대 매너까지 굉장히 좋다네. 추억팔이는 존재를 느낄 수 있어서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