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시인이라고 불리지만 김수영은 거제도 포로수용소 출신의 625 시인이라 할 수 있다.

참담함과 꺼져가는 당시의 대한민국에서 무엇을 보면서 그 시대를 견뎌 냈을까.

김수영의 시를 읽으며 잠시 눈을 감으면, 당시의 어려운 시대의 상황 속으로 들어가 볼 수 있다.

전후 정리도 제대로 되지 않아 도로에는 시취가 아직 났고 건물은 복구가 안 되어서 뼈대가 다 드러나 있던 시대.

친구였던 박인환 시인은 밤이면 혼돈 속에서 어쩌지를 못해 술을 마시기만 했다.


김수영 시인은 착각을 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대한민국이 진정한 민주주의가 된다는 착각.

못 사는 사람들이 잘 살게 된다는 착각.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세상이 된다는 착각.


착각하지 마라.라는 소리는 참 듣기 싫다.

착각하고 있네, 착각하며 살지 마라, 같은 그런 소리를 들으면 미간은 좁혀지고 골이 생긴다.


심리학자들은 이 '착각'이 인간이 벗어던져야 할 나쁜 관념인가에 대해서 전혀 그렇지 않다고 했다.

착각은 때로는 행복과 긍정적으로 나아가는 방향의 제시를 해 주고 동기부여를 갖게 한다.


어린이집에서 어린이들을 상대로 심리 실험이 이루어진다.

3살짜리 아이들에게 그림책을 보여준다.

그림책에는 동화가 그려져 있는데 동화 속에는 또래의 남자아이와 여자아이가 있다.


여자아이의 이름은 용선이.

용선이는 손가락이 4개밖에 없다.

용선이는 태어날 때부터 새끼손가락이 없었다.

용선이는 손가락이 5개 있는 친구들이 늘 부러웠다.

용선이가 어른이 되면 어떻게 될까,라고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묻는다.


아이들은 어떤 대답을 할까.


어떤 아이는 자신이 용선이의 손을 만져줄 거라는 대답을 하며 동화책을 끌어안아주었다.

또 한 아이는 용선이가 어른이 될수록 새끼손가락이 자꾸 생겨난다고 대답을 한다.

또 다른 아이는 뽀뽀해주면 그 손가락은 새싹처럼 돋아난다고 했다.

아이들은 용선이의 손가락에 힘을 불어넣어 주었다.


절대 그럴 리 없지만 우리는 아이들의 대답에서 착각이 일으키는 긍정의 힘을 엿볼 수 있다.


사람들이 나에게 안 될 거라고 하는 걸 나는 될 거라고 생각하는 착각.


내 아이가 첫발을 내디디면 어디든 달려갈 거라는 엄마의 착각.


누군가는 나의 능력을 믿어 줄 거라는 착각.


오늘보다 분명히 내일이 나을 거라는 착각.


이것이 우리의 긍정적 착각이다.


잘 안 되지만 뭐든지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혹 그것이 착각일지라도.

그것이 착각의 '힘'이다.

진정한 착각은 우리의 두 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