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르르르릉.


 “여보세요…….”


 나는 잠결에 전화를 받았다. 내 목소리가 수화기 너머에 있는 긴 얼굴의 누군가에게 닿았을 테지만 아무런 소리도, 말도 하지 않았다. 아버지의 집으로 온 후 벌써 몇 번째 이런 전화가 오고 있다.    


 아버지는 자존심 때문에 곤란한 지경에 이르렀다고 변호사는 말했지만 실은 그게 아닐지도 모른다. 어머니가 집을 나간 이후 더 그랬을지도 모르지만 아버지는 나와 이야기를 하는 도중에도 마치 나 이외의, 내 뒤에 있는 누군가와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았다.    


 그건 꼭 나를 가장하고 있는 아버지의 유전자를 잉태하고 아버지의 모습으로 나타난 아버지 자신의 또 다른 모습에게 말을 하는 것 같았다. 나와 이야기를 하지만 아버지는 지극히 공허와 대화를 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것이 남은 삶을 세상과 타협을 하며 살아가는 방법이라 여겼을지도 모른다. 그게 아버지 자신의 자기 방어 기저를 만들었고 그건 아버지 자신에게 어떤 면으로(생활에 대해서) 미저러블 하게 다가왔을 것이다.     


 아버지에게 장소는 중요하지 않다. 아버지는 이미 장소를 옮겨 다니고 있을지도 모른다. 전화를 하는 건 아버지일지도 모른다. 아버지라고 생각하는 것이 나의 착각이라는 것을 알지만 아버지는 나에게 공허를 통해 무엇인가 말을 하려고 한다. 그런 생각이 들었다.    


 아니면,

 전화를 하는 건 벤일지도 모른다. 벤에게서 비닐하우스를 태우는 이야기를 듣고 나는 매일 잠이 들면 비닐하우스를 태우는 꿈을 꾼다. 벤은 두 달에 한 번쯤 태우는 페이스가 제일 좋다고 했다. 당연하지만 남의 비닐하우스를 태우는 것, 범죄행위를 저지르는 것, 명백한 범죄 행위, 이 명백하고 사실적인 범죄를 저지르는 건 너무나 간단한 것이라 했다. 마치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사라지게 할 수 있다고 했다.    


 해미가 그랬다. 원래 없는 것을 여기에 있다고 생각하면서 그 형태에 대해서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없는 그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그 자체를 생각하지 않는 것.    


 벤이 하는 말을 듣고 어쩐지 해미가 한 말이 떠올랐다. 마치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사리지게 하는 것. 그건 어쩌면 나는 원래 나오지 말았어야 했을지도 모를 인간이었는데 아버지의 유전자를 옮겨 받아서 후세에 그것을 다시 옮겨주는 어떤 냄비 같은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벤은 뭘 하는 사람인지도 모른다. 포르셰를 몰고 다니며 좋은 집안에 태어나서 늘 유쾌하다. 무슨 생각을 하는 인간인지 알 수 없었고 집에 친구들을 초대해 와인파티를 한다. 일정 시간을 들여 좋은 곳에 위치한 Gym에서 운동을 해서 에너지를 억지로 소모했다.


 여자들이 싫어할 리 없는 종류의 인간이다. 벤이란 그런 인간인 것이다. 그렇게 타고 난 인간이다. 세상에는 그런 인간이 있다. 이미 그런 인간은 정해져 있다. 그렇게 정해져 있는 인간에게 세상의 어떤 틀은 그런 인간을 어쩌지 못한다.

   

 해미도 벤의 주위에 감도는 그런 분위기에 그만 끌리고 말았다. 밖에서 보면 옅은 물이지만 막상 발을 담그면 무릎까지 차올라 놀라게 되는 그런 몹쓸 개울물에 해미는 들어간 것이다.    

 

 큰 비닐하우스가 다 타는데 십 분도 걸리지 않는다. 벤은 대마초를 흡입하고 연기가 뇌를 건드리기도 전에 그런 말을 했다. ‘나'라고 하는 비닐하우스를 만드는데 이만큼의 시간이 걸렸어도 사라지는 건 한순간이다. 십 분 정도 만에 나는 사라질 수 있다. 범죄행위란 해보지 않는 이상 간단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는 없다.    


 나는 어릴 때 엄마의 옷을 아버지가 태우라고 해서 직접 태운 적이 있다. 나는 그 말을 벤에게 했다. 엄마의 옷을 태우는 꿈을 꾼다. 엄마의 옷은 불이 붙자마자 홀라당 타서 없어졌다. 엄마의 깊은 냄새가 배어있는 옷은 그을음으로 바뀌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았다.   

  

 아버지와 나는 홀랑 타고 있는 옷을 지켜본다. 타 없어지는 것, 타고 남은 재도 사라지고 나면 그을음으로 동력 삼아 우리는 살아갈지도 모른다. 그것의 또 다른 이름은 추억일지도 모르고 미미하게 남은 그리움이라 부를지도 모른다.    


 해미를 만나고 벤을 알고 난 뒤부터 나는 고립이라는 것에 들어가고 있는 것 같았다. 이대로 홀랑 타서 죽어버리는 것보다 이대로 두 사람의 주위에서 고립된 채 영원히 살아가는 것이 무섭다. 그것이 나에게는 무서운 일이다.     


 해미는 벤을 만나기 이전에는 나를 좋아했다. 나의 페니스에 콘돔을 끼워주던 해미의 손길을 나는 기억한다. 보일이의 밥을 챙겨주러 들어가면 집구석구석 박혀있는 해미의 냄새에 도취되어 나는 자위행위를 했다. 그 순간은 절실하게 해미를 떠올릴 수 있었다.    


 “한국에는 비닐하우스가 정말 많아요. 쓸모없고 지저분하고 눈에 거슬리는 비닐하우스는 몽땅 내가 태워주기를 바라고 있어요. 그리고 나는 그 불타는 비닐하우스를 보며 희열을 느끼는 거예요.” 벤은 말을 하면서 미소를 지었다. 난 다 알고 있어, 하는 표정의 미소.    


 자신의 손을 심장 가까이 대고 뼛속까지 울리는 베이스가 있다고 했다. 그건 뭘까. 그건 정말 해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는 것이다.


 태. 우. 지. 안. 고. 서. 는. 알. 수. 없. 다.


 “그건 형이 판단하는 거예요?”


 “나는 판단 같은 것은 하지 않아요. 그냥 받아들이는 거죠. 그것들이 태워지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걸. 거기에 옳고 그름은 없어. 자연의 도덕만 있지.”


 “자연의 도덕이요?”


 “자연의 도덕이란 동시 존재 같은 것이에요. 나는 여기에도 있고 저기에도 있는 거.”


[계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