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드 인디고를 좋아할 만한 사람은, 화가로 치면 달리의 그림이 좋아서 미치고, 마그리트의 그림을 하루 종일 들여다보는 사람, 사진가로 친다면 데이비드 라샤펠의 환상적인 사진에 빠져 있는 사람, 소설로는 무라카미 류의 ‘달콤한 악마가 내 안으로 들어왔다'나 ‘타나토스’에 빠져있는 사람은 이 영화 ‘무드 인디고’를 좋아할 것이다

무드 인디고는 보리스 비앙의 프랑스 원작의 #$%%^&^## 이런 제목을 제대로 풀어내기가 어려운데 영어로 해석을 하니 ‘무드 인디고’가 됐다고 한다. 한국어로는 ‘세월의 거품’라고 한다. 기가 막힌 쥐와 살고 있는 발명가 콜랭는 당시 최고의 철학가인 장 솔 파르트르에 빠져 있다. 영화 속 장 솔 파르트르는 ‘구토’의 쟝 폴 샤르트르다

사르트르는 많은 철학가 중에 애무를 철학적으로 풀어냈다. 스킨십이 없는 사람에게는 사랑이 없다고 말한다. 아기가 엄마젖을 빨다가 이후 엄마와의 스킨십에서 벗어나 연인, 부부로 넘어가는데 손과 손이 닿았을 때 비로소 상대의 사랑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니까 요컨대 뭐랄까, 남녀가 같이 키스를 하는데 남자가 딴생각을 하고 있으면 여자는 너 나랑 키스하면서 지금 딴생각하지?라고 대번에 알아차린다는 거다. 스킨십은 그래서 중요하고 뭐 그런 이야기를 철학적으로 풀어냈다

주인공 콜랭은 친구인 시크와 함께 파티장에서 클로에와 알리즈를 만나게 되고 우연처럼 만나 운명 같은 사랑을 한다. 이 네 사람의 구도는 꼭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네 사람을 보는 것 같다. 그 속에도 무거운 삶을 가볍게 살아가려고 하는 두 명의 주인공과 그 역설적 삶을 추구하는, 즉 인생은 우연이 아니라 운명이라 여기는 두 명의 또 다른 주인공이 있다

토마시, 프란츠, 테레자, 사비나의 모습을 좋아한 사람이 알랭드 보통이고 ‘왜 나를 너를 사랑하는가’를 읽어보면 은밀하게 밀란 쿤데라의 글이 떠오른다. 그리고 알랭드 보통을 너무나 좋아한 감독이 마크 웹이다. 바로 ‘500일의 썸머’를 만든 감독이다. 이상주의자 톰 녀석의 손에는 알랭드 보통의 책이 늘 들려있다. 그림이 쓱 그려진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왜 나를 너를 사랑하는가 => 500일의 썸머. 마크 웹은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1, 2도 만들었다는 것

무드 인디고는 사랑에 관한 고찰의 이야기다. 사랑을 시작하게 되면서 싹트는 로맨스와 사랑이 여러 방향으로 나뉘면서 퇴색하고 시들어가는 모습을 미셸 공드리는 전부 화면의 색채와 초현실로 표현을 했다. 화려하고 아프고 잔인하고 아름다움을 영상으로 표현한 미셸 공드리의 무드 인디고는 좋아하는 사람은 정말 좋아해서 폴짝 뛰면서 몇 번이고 볼 것이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흥, 할 수 있는 영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