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스 패밀리를 보고 아, 해버렸는데 그건 감동을 받았다는 말이다. 셰어와 크리스티나 리치의 아담스 패밀리가 잊히려고 하는 와중에 본 애니 아담스 패밀리는 정말 멋진 영화라고 생각했다

영화 속 대사처럼 사람들은 잔인하다. 자신과 다르면 일단 배척하고 밀어내고 그것도 안 되면 공격하고 본다. 겉모습을 보고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에 맞게 잣대를 잰다. 겉모습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겉모습이 완전한 모습으로 인식해 버린다

존 가드너의 소설 ‘그렌델’을 읽어봐도 그런 모습이 잘 나온다. 그렌델은 인간과 친해지고 싶어서 먼저 다가가지만 인간은 흉측하게 생긴 그렌델의 겉모습을 보고 죽여 버리고 만다. 나와 다르면 악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21세기에는 더 많아진 것 같다

좀 벗어난 이야기일지 모르지만 양희은이 박미선과 이지혜와 진행한 ‘거리의 만찬’에서 하차한다는 이야기로 한때 떠들썩했다. 그로인해 다음 내정 진행자였던 김용민이 자진 하차했다. 당사자들은 제외하고 이를 두고 각종 언론에서 사람들이 사랑으로 키워놓은 방송을 접으려 한다고 했다. 언론에서는 기존 3명의 진행자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보는 방송이라고 했는데 사실 거리의 만찬은 교양, 시사 프로그램 중에 시청률이 1.6%로 꼴찌였다. 계속 그렇게 유지를 했기에 방송국 입장에서는 개편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거리의 만찬을 주위에 물어보면 본 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다. 라디오는 6개월에 한 번씩 개편을 한다. 청취율이 떨어지면 디제이는 가차 없이 교체된다. 거기에 누구도 토를 달지 않는다. 어떤 면으로는 김용민이 다르기 때문에 그렇게 깎아내리는지도 모른다

신천지에 대해서도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나 하자면 이만희는 원래 유재열이라는 시한부종말론이라는 ‘장막성전’ 이단에서 일을 하던 직원이었다. 그런데 시한부종말론이 말하는 날짜에 종말이 오지 않았다. 아뿔싸. 유재열은 그 뒤로 튀었다. 그로인해 교단이 뿔뿔이 흩어지면서 교인들이 우왕좌왕 난리였다

그때 이만희가 그 사람들을 데리고 나와 신천지를 만든 것이다. 유재열이라는 사람은 알기 쉽게 가수 싸이의 장인어른이다. 그럼 이 신천지를 지금에 이르는 대규모로 키운 사람이 누구냐 하면 전남 광주 쪽의 베드로지파장 지재섭이라는 사람이다

이 사람이 광주민주화운동까지는 운동권이었는데 장모가 신천지라 장모 때문에 신천지에 빠졌는데 이 사람이 운동권의 시스템을 신천지에 도입을 해서 어마어마한 사람이 지금에 이르러 모이게 되었다. 이런 내용이 피디수첩에 다 나왔나? 피디수첩을 보지 못해서

신천지에 빠진 젊은 사람들이 왜 빠져 나오지 못하는가 한다면 이들이 말하는 영생의 숫자 144천명에 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잘못하면 너 144천1등으로 영생을 얻지 못한다, 라고 하면 그들은 두렵다

키에르케고르의 저서 죽음에 이르는 병을 보면 그 병은 절망이다. 키에르케고르가 말하는 기독교의 희망은 영원한 생명인데 그 반대가 절망인 것이다. 절망은 곧 죽음에 이르는 병인데 신천지에서 144천 명 안에 들지 못한다는 배척은 바로 절망인 것이다

아무튼 아담스 패밀리는 가족 모두가 개성으로 엉망진창으로 생활을 한다. 근데 그게 정말 행복해 보인다. 가끔 망가지고 자주 엉망진창이어도 우리 인간은 괜찮다. 겉모습이 비슷한 무개성의 인간들보다 개성으로 똘똘 뭉쳐 나빠진 아담스 패밀리는 굿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