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의 인기가 시들해졌을 즈음 기생충에 대해서 리뷰를 해보자. 리뷰라고는 하나 그저 조그만 입으로 주절거리는 수준일 뿐이다. 기생충은 본 사람들의 다양한 리뷰가 이미 소피아 로렌의 머리숱만큼 많고 흘러넘치기 때문에 거기에 기생충처럼 숟가락 하나 얹어보자

 

기생충은 봉준호 영화의 흐름을 이어받아 대립구조가 확실한 영화다. 하지만 이전의 다른 영화보다 대립을 하는 기저가 영화를 보지 않으면 절대 알 수 없도록 장치를 하나 더 숨겨 놨다. 봉준호의 모든 영화는 장면장면이 하나의 복선 내지는 숨겨둔 암시 같은 은유로 이루어져 있다

 

요컨대 퍼붓는 장대비는 연교의 가족에게는 스쳐가는 싱그러운 날씨의 한 부분이지만 기택의 가족에게는 풍비박산인 것이다. 기우의 가족은 영화를 관통하는 단어 ‘프리텐더’로 계급을 올리려 투쟁을 한다. 기생충이 있어야 할 곳을 떠나 기생충이 있으면 안 되는 곳으로 기생충들이 프리텐더로 기생충이 아닌 모습으로 오르려 한다. 기생충은 항상 벽을 타고 어딘가로 오른다

 

하지만 프리텐더로 중무장한 기택의 가족이 아무리 오르려 해도 높은 계급사회에 도달하지 못하고 만다. 동익을 죽인 기택이 숨어 있는 지하에서 빼내기로 한 기우는 자본을 끌어 모으면 이 저택을 구입하여 아버지를 만나러 가겠다.라고 한다. 하지만 기우의 현실은 반 지하에 있다

 

영화는 이렇게 끝나지만 기우가 어떤 식으로 저택을 구입할지에 대한 여지는 관객 몫으로 돌린다. 과연 기우가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꼭대기 계급사회로 올라가기 위해, 이 저택을 구입하기 위해 무슨 일을 해야만 할까. 이 처절한 시기에 어떤 방법? 어떤 일을 해야 단번에 대저택을 구입할 수 있는 자본을 구할 수 있을까. 아마 어떤 이는 5년 동안 무슨 일을 했을지 모를 게츠비가 되어 나타나서 저택을 구입하지 않을까 라고 할지도, 또 다른 이는 기우가 계속 프리텐더로 사기를 쳐서 대저택을 구입하게 될지도, 또 어떤 사람은 결국 아버지를 구하지 못하게 된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이런 부분은 영화의 섬뜩함을 보여준다

 

기생충을 보면 봉준호의 초기작 플란다스의 개가 떠오른다. 그곳에서도 지하세계에서 살아가는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 있는 사람들이 나온다. 주인공 윤주는 공기가 좋은 숲에서 살아가고 싶지만 눈을 뜨면 숲보다 더 거대한 아파트숲의 중간에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결국 그 속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는 자신을 알게 되는데 기생충의 기우와 기택의 모습도 아아 이 사람들 정말, 하는 생각이 든다

 

기생충에서 사건으로 발전을 하는, 스믈스믈 영화 속에 연기를 풍기는 건 ‘냄새’다. 우리는 냄새를 없애기 위해 끊임없이 향수를 뿌리고 방향제를 뿌린다. 모두가 좋아하는 갓 지어낸 밥 냄새는 매일 밥을 퍼는 일을 하는 아주머니의 손에 그 냄새가 각인이 된다. 각인이 된 그 냄새는 아무리 씻어도 없어지지 않는 하나의 낙인이 된다. 낙인이 된 밥냄새는 더 이상 좋은 냄새도, 맛있는 냄새도 아닌 것이다. 사람의 감각 중에서도 가장 나중에 사라지는 것이 후각이라고 한다. 지구상에서 가장 안 좋은 냄새를 지니고 있는 것이 인간이고 인간은 이 냄새를 없애기 위해 매일 씻고 바르고 뿌리는 것에 지치지 않는다. 냄새를 숨기기 위해 프리텐더하며 생활하지만 한 번 낙인 된 냄새는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

 

계급이 낮은 사람에게 계급이 높은 냄새가 날리없고, 땀이 많이 나는 곳에서 일하는 사람에게 보송보송한 냄새가 날리 없다. 근세에게서 심하게 풍기는, 코를 막아야 하는 냄새는 바로 기택 자신에게서 나는 낙인 된 냄새였다. 동익이 그 냄새에 코를 막았을 때 기택은 (자연스럽게) 칼을 들게 된 것이다. 기생충은 두 번 세 번 보면 더 재미있는 것 같다. 요즘 보기에 참 시의적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