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고질라 영화를 좋아한다. 어릴 때에도 고질라 프라모델이 몇 개나 있을 정도로 좋아했다.

 

이번에 나온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는 영화적인 이야기를 소거하고 산업적으로 이야기를 해보면 이 영화는 일본, 미국, 중국의 합작품이다. 일본의 신화적인 이야기를 바탕으로 할리우드 배우들이 중국의 거대 제작사의 자본력으로 만들어진 영화다. 고질라 이야기는 영화로 나올 때마다 욕을 듣지만 그것이 새로운 고질라 영화를 만들어내는 동력원이 되는 것 같다

 

그래? 그럼 이번에는 내가 고질라 영화를 한 번 만들어보겠습니다! 라며 감독들이 나타나는 것 같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실수? 좀 하 면 어때? 같은 분위기가 그간의 고질라 영화에 가득하다. 처음의 한 사람이 사람들의 비난을 감수하고 고질라를 영화로 만들기로 작정을 한 다음 부터는 새로운 감독들이 끊임없이 고질라의 메가폰을 잡는다. 그리고 그 한 사람 덕분에 시간이 훌쩍 지나 아주 많은 사람들이 그 결과물을 보며 즐기고 있다

 

좀 벗어난 이야기로 우리나라 록 페스티벌이 이렇게 활성화되어 정착한 것도 한 사람 덕분이었다. 이름이 기억이 나지 않지만(좀 알려주세요) 그 사람은 공연기획자이자 무대감독으로 인천에서 1999년 7월의 마지막 날 트라이포트 록 페스티벌을 개최했다. 그러니까 지금의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의 전신인 것이다. 그날 비가 억수같이 퍼부었다. 운동장에는 물이 무릎까지 차올랐고 그 대비를 위해 무대감독이었던 그 사람은 인근 학교를 미리 수배해 놓기도 했다

 

록 정신은 비가 오는 것쯤 아무것도 아니게 만들지만 비는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많이 내렸다. 그날 세계적인 밴드인 딥 퍼플이 왔는데 이렇게 비가 와서는 도저히 공연을 할 수 없을 지경이었다. 모두가 위험하기 때문에 공연을 중단하려고 했는데 비를 쫄딱 맞은 그 무대감독이 딥 퍼플의 부스로 들어간다. 그리고 딥 퍼플에게 말했다. 저기 오직 당신들의 공연을 보기위해 비를 맞으며 기다리고 있는 한국 팬들을 생각해 달라, 그들에게는 어쩌면 평생이 한 번 뿐인 기회일지도 모른다, 만약, 정말 위험하다면 공연을 중단하겠다, 하지만 지금은 공연을 할 수는 있다, 제발 연주를 해달라.라며 딥 퍼플에게 매달렸다. 기획사측의 손해에도 불구하고 공연은 이루어졌고 비를 엄청나게 맞으며 딥 퍼플을 비롯해서 한국의 팬들은 열광을 했다. 그것은 하나의 사건으로 한국록페의 역사가 되었다. 이후 국내에 록 페스티벌의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단지 공연기획자였던 그 한 사람이 없었다면 지금의 한국 록 페스티벌은 이루어지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고질라를 보면서 한국의 용가리나 불가사리도 해낼 수 있었지만 맥이 끊겨 버렸다. 불가사리는 북한에서 만들어내고 있지만 안타깝고 용가리의 이야기도 심형래가 만들어내면 공격을 하기 바빴기에 그 명맥이 끊어졌다.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 이전의 고질라 이야기는 꽤 좋았다. 그 영화에서 고질라를 소거하고 핵공격으로 바꾸면 이야기가 아주 쉬워진다. 핵공격을 받은 일본이 서방세계와 국민들을 대하는 정부에 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모든 분야에서 이미 이렇게 대비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임홍빈이 없었다면 한국에 이렇게 하루키의 붐이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닥치고 정치의 김어준이 아니었다면 정치가 이렇게 재미있다고 느끼지 못했을지도 모르고, 봉준호가 아니었다면 쉬르리얼리즘 적인 영화가 멋지다고 느끼지 못했을 것이다

 

이 영화 속에서도 연구 욕이 불타는 한 사람이 지구를 곤경에 빠트리고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넣는다. 미친 한 사람이 얼마나 사람들에게 위험을 주는지, 한 사람의 의지가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의지가 되는지, 우리는 알게 모르게 경험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