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맹 가리는 에밀 아자르라는 이름으로 자기 앞의 생을 썼고 모모와 로자
아줌마를 통해서 삶과 죽음을 고찰했다. 적어도 나에게는 그랬다. 로맹 가리는 에밀 아자르를 사촌 동생이라 하기도 하며 감독으로 영화도 두 편이나
찍고 죽기 전까지도 굉장히 멋에 신경을 썼다.
그 덕분인지 24살인지 23살인지 어린 진 세버그를 아내로 맞이했다. 진
세버그가 반할 정도니 로맹 가리도 괴짜에 참 멋있는 사람이었다. 진 세버그는 아름답고 당시에 있을 수 없는 여성상을 지니고 있는 배우였는데 진
세버그는 박애주의자였다. 그것도 심각하고 지독한 박애주의가 진세버그를 가득 채우고 있었다. 로맹 가리와 결혼을 하고서도 집에 거지들을 가득 불러
같이 살았다. 로맹 가리가 두 손 두 발 다 들었다. 진 세버그가 자살로 죽고 몇 해 뒤에 로맹가리도 자살을 했다. 진 세버그는 50년대 말,
60년대 초 영화계를 누벨바그로 해체시켜 버린 장본인 중에 한 명이었다.
영화 속에서 또 하나의 해체가 있었는데 그것이 85년도 아메리칸
지골로이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리치드 기어로 신인 시절이었다. 때마침 영화 의상을 맡고 있던 신입 디자이너였던 조르지오 아르마니가 리차드
기어의 영화 의상을 담당하면서 영화를 보기 위해 집에서 빵만 구워대던 미국의 여자들을 극장으로
불러들였다.
조르지오 아르마니의 의상을 입은 리차드 기어는 옷을 입었는데 섹시함이 줄줄
흐르는 기현상이 영화 속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정장은 양복으로 불리며 고리터분하고 권위주의적 남성의 상징이었다. 그런데
조르지오 아르마니와 리치드 기어가 나타남으로 해서 수트라는 개념이 처음 등장했고 영화 속 리차드 기어는 그야말로 모델의 일상을 훔쳐보는 듯한
착각이 들었다.
프랑스에 진 세버그(미국 출생이지만)가 있었다면 미국에도 머리가 숏 컷으로
해체주의적인, 앤디 워홀의 뮤즈었던 에디 세즈윅이 있었다. 당시 여성들이 경멸했던 아주 짧은 숏컷에 굉장히 크고 무거운 귀걸이와 눈 주위를 가득
매운 눈 화장, 검은 망사 스타킹의 에디 세즈윅은 엔디 워홀과 함께 펙토리에서 기존 예술을 뒤집는 작업을 많이 했다. 에디 세즈윅은 보브 딜런과
잠시 만나기도 했지만 역시 짧은 생을 살다 마감하고 만다. 에디 세즈윅을 연기한 시에나 밀러 주연의 팩토리 걸이 있으니 보면
재미있다.
에디 세즈윅의 이 스타일은 에디 세즈윅이 죽었다고 해서 끝나지 않는다.
에디를 그대로 벤치마킹한 사람이 일본의 나무로 아미에였다. 아미에 나무론가? 아미에 나무로는 노래도 잘 불러 에디 세즈윅이 정말 다시 되살아난
것 같은 기분이 그간 들게 했다. 그리고 바로 이효리가 에디와 아무로를 벤치마킹해서 그들의 스타일을 이효리 만의 독자적인 모습으로 잘
기획했었다. 그럼 트위기는요?라고 하는 사람이 있을 텐데 트위기는 아직 살아있고 궁금하면 검색해보자.
에디 세즈윅은 샤넬이나 각종 런 어웨이에서 아직도 스타일을 살려서 무대를
장식하고 있다. 에디의 연인 앤디 워홀이 해체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 아닐까 한다. 우리가 잘 아는 팝아트의 창시자이자
영화배우, 사진작가, 음반 제작자 등 니코의 벨벗 언더그라운드의 그 앨범 표지, 바나나 하나로 넘어설 수 없는 앨범표지를 만들어버린 사람이었다.
물론 그 바나나는 앤디 워홀식으로 여러 다양한 의미가 있다. 벨벳 언더그라운드 루 리드 등 모두가 앤디 워홀에 신세를 지고
있었다.
앤디 워홀의 친구가 누구냐면 백남준이다. 백남준이 70년대 초 한국 땅에서
예술, 초현실 예술을 하려고 하니 머리 길면 잘라버리지, 자정이 되면 통행금지를 하지, 열받아서 독일로 가버린다. 독일에서 백남준은
플록서스라는, 그러니까 뭐랄까 우리 식으로 말하면 문화새마을운동 같은 것을 일으켜서 독일 예술계를 해체시켜 버린다. 발칵 뒤집어놓은 거지.
플록서스가 뭐냐? 나도 잘 모르지만 행위나 퍼포먼스로 금기나 기존의 틀에 충격을 주는 예술을 통틀어 말한다. 전위예술 가끔 멍하게 보면 재미있고
괜찮다. 부수고 던지고 고함치고 소리 지르고, 가끔 우리도 일상에서 그럴 때가 있지 않나.
나는 어쩌다 백남준의 아트전에 빠지게 되어 몇 년을 많이도 가서 봤었다.
70년대 백남준과 독일에서 같이 플럭서스를 활동한 예술가가 오노 요코였다. 당연히 존 레넌과 결혼한 오노 요코 덕분에 존 레넌과 예술적 친구가
된 백남준은 존과 친구인 앤디 워홀과도 함께 모두가 예술적 경계를 허물어트리며 친구가 된다.
정말 멋진 일이다. 이렇게 세계적인 해체주의 작가들은 서로 그렇게 보이지
않는 끈으로 애당초 연결되어있다가 후에 서로 친구가 된다. 백남준이 죽었을 때 뉴욕에서 장례식을 했는데 사회를 오노 오코가 봤다. 이 장례식이
얼마나 멋지냐면 관속에 편안하게 누워있는 백남준의 배 위에 장례식 장에 모인 전 세계 예술가들에게 매고 있는 넥타이를 가위로 잘라서 올려 달라고
오노 요코가 말을 하고 모두가 그렇게 한다.
존 레넌이 아직 비틀스 시절 오노 요코 덕분에 일본에 멤버들과 온 참
재미있는 긴 일화가 있는데 로맹 가리의 책에 대해서 이야기하려다 산을 넘고 강을 건너버렸다. 발렌시아가의 이야기도
있는데.
로맹 가리의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를 읽어봐야 하는데. 내년에는
읽으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