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 부러뜨리는 남자를 위한 협주곡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선영 옮김 / 현대문학 / 2015년 6월
평점 :
이사카 코타로 라는 작가를 감히 좋아한다고 말하면서 실제 이사카 코타로의 작품은 사신치바 한권밖에 안 읽었다고 하면 다들 '뭐야' 언니 그건 아니잖아. 라고 말하곤 한다. 내가 좋아 하는 작가 책을 다 읽기에 지조없는 난 좋아하는 작가가 너무 많다. 하지만 치바라는 케릭터가 너무 좋아 치바를 탄생시키신 탄생주를 좋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어떤 이사카코타로 광팬덕에 몇권 소장못하고 있던 그의 책이 이젠 제법 쌓였다. 읽어 줘야 하는 시점이 온 것이다. 책을 사재기 하는 나지만 사놓고 10%만 읽었다는 건 자존심 상하는 일이니까. 차근 차근 읽어 줘야겠다. 그 시작차원에서 목 부러뜨리는 남자를 위한 협주곡을 읽기로 했다. 이하 목.부.남. 우린 이렇게 부른다. 제목이 너무 기니까. 목.부.남.은 늘 그렇듯이 사전정보 없이 읽으려 했는데 나쁜 동생이 잘 읽어라고 아니 단디읽어라고 했다. 이름하나 대사 하나 하나 정신 똑디 차리고 보라고 했다. 그래야 덜 속는다고 이 책이 뭔 사기를 치나? 바짝 긴장하고 읽었다. 난 원래 등장인물 이름 잘 못외우는디 그러니 당연 잘 모르고 지나가는 듯 했다.
목.부.남.은 연작소설이라고 제목 아래 작가 이름과 같이 떡하니 박혀 있다. 그러니 단편이지만 연작이구나 생각하며 읽었지만 단편 하나하나가 완전 다른 스타일에 어쩌다 방심하고 있으면 누가 하나 톡 튀어 나오는 정말 이런 기막힌 재미를 주는 단편은 또 뭐지 싶다. 죽은듯 죽지 않은 느낌도 묘한 설정이지만 중간 중간에 깔렸던 복선은 왠지 다 연결되는 느낌이면서 다른 느낌 읽어 보지 않고 어떻게 설명으로는 알수 없는 느낌이다.
어떤 동물이나 사람이나 첫인상으로 많은 것을 판단하곤 한다. 특히 남자면서 덩치가 큰 사람일 경우 보통은 힘도 쎄고 그 쎈 힘을 믿고 더 과격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없지 않다. 아주 허약하고 허여멀건하게 생긴것이 어느날 친구와 싸워 친구의 코뼈를 부르뜨린 뒤 담임 선생님은 그 학생의 장래를 생각하며 이 것을 혹시 내 주먹 쎄잖아. 라는 생각에 폭력적이 아이가 되지 않을까? 걱정하던 것이 떠올랐다. 다행이 그 학생은 그 다음 절대 폭력은 한번밖에 휘두르지 않았지만 인간은 겉 보이는것과 내면은 다른다는 것 또한 목.부.남을 읽고 생각하게 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이나 아이를 데리고 있는 주부가 은행의 입출단말기에서 끙끙거리고 있는데 어떤 덩치큰 남자가 그 노약자를 억박지르면 당연히 덩치를 욕하는 분위기에 다른이들은 노약자를 측은이 여길지언정 같이 억박지르지는 못할것이란건 생각해보면 알만한 일이지만 그런 불편한 드립을 쳐주는 이가 있을 거란 생각은 절대 못할 생각이다. 이작가는 흑과 백, 악과 선을 너무 조화롭게 배치한것 아닌가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