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편이라 적혀 있었다. 그런데, 얼마 안 읽었는데 끝.. 어 왜이래? 단편이잖아. 그러고는 조금 읽다보니 적응 잘 되지않는 일본 이름이지만 좀전에 계속 보던 이름과 같다. 글쿠나, 같은 사람이구나 이라부 종합병원 정신과 의사, 실제 종합병원 원장의 아들이며 차기 원장이 될 강력한 후보이기도 하다. 그런데 병원의 가장 후미진 지하에 위치한 그는 어디선가 정신과 의사는 약간은 환자와 닮아 간다더라는 말을 시억하게 해주는 어딘가 의사놀이 하는 환자같은 느낌이다. 물론 간호사도....

첫번째 환자는 고슴도치다. 늘 바늘같은 털을 빳빳히 세우고 진장해있는 몸에 무시무시한 문신으로 포장한 야쿠자. 야쿠자라 하면 우리나라의 깍두기 아저씨들 보다 훨 무시무시하고 우락 부락하다고 알려진 긴자의 규율반장 같은 사람들이다. 그중에 중간보스라면 그 나이 그 자리까지 갈때는 분명 깡도 대단한 사람이지만, 그에게 생겨난 어느날 갑자기 자기 내면과 싸우게 된다. 그래서 찾아온 병원이 이라부의 병원이다. 비타민 주사의 약효가 제대로 나타난 환자라 난 본다.

 

두번째 환자는 공중그네를 평생의 직업으로 알고 살아온 태어날때부터 모태 공중그네의 달인이다. 이또한 바뀌는 환경으로 인해 자신을 보호하고자 내면과 싸우다 이라부를 찾아와 이라부의 비타민 주사와 이라부의 공중그네 시범을 처방으로 받는 환자다.

 

세번째 환자는 친구, 동창이지만 동창들 사이에서 약간의 선망의 대상인 가식적인 자신과 실제 본 모습을 동경하는 자신과 싸우는 과정에서 장인의 가발이 시발점이 되어 결국 의사와 공범하는 완전범죄를 처방으로 받는 환자다.

 

네번째 환자는 3루수 수비에 문제가 생긴 프로야구선수 최고의 자리에서 그 자리를 바라보고 올라오는 신인들에게 보이지 않는 위기의식을 자신의 몸이 먼저 알고 방어하지 못하는 병을 결국은 자신의 양심과 선배로서의 포용력으로 이겨가는 환자.

 

마지막으로 찾은 다섯번째 환자는 소설을 쓰는 작가다. 모든 책은 다 심여를 기울이 겠지만, 특별히 마음과 혼을 담은 책이 자신에게 준 실망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상처를 받아 소설만 쓰려면 구토를 하는 여류작가, 왜 여자만 여류작가라고 하는지 모르지만 여하튼, 그 작가도 결국 내적인 싸움을 결국은 자신이 해결해 나가는 그리고 연예인이나 운동선수에게 팬이 있듯이 작가에게도 독자가 있다는 사람에게 희망은 사람이라는 느낌도 줬다.

 

여기서 마지막 진짜 마지막 환자는 이 책을 읽는 현재의 나 자신들이다. 현대에는 너무도 빠른 변화와 갈등으로 인해 정신적으로 아프지 않은 사람이 없는 것 같다. 나 자신 또한 작가님처럼 구토를 자주하지만 같은 증상은 아니지만 마음에서 온다는 것을 안다. 현실도피와 외로움 그리고 표현하지 못하는 많은 갈등들 딱딱하고 주눅들게 하는 종합병원의 젊고 잘 생긴 의사선생님이 아닌 이라부의 병원이라면 어떤 해결책을 찾아서라기 보다는 그저 토해놓고 싶은 것을 맘껏 토할수있을 것 같다. 비타민 주사는 기본으로 맞아야겠지. 비타민 나쁘지 않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