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의 서재 - 그리고 그들은 누군가의 책이 되었다
한정원 지음, 전영건 사진 / 행성B(행성비)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현대는 책의 홍수시대다. 예전 아주 예전에는 책이 귀한 시절이 있었다. 같은 책을 나눠 읽을 수 가 없으니 필사를 해서 필사본을 불법으로 사기도 빌리기도 하긴 했지만 보통 책의 종류는 한정 되어 있었던것 같다. 그 시절의 지식인들은 중국의 고서들을 위주로 읽고 또 읽었다고 한다. 어떤 선인은 책을  가죽으로 표지를 입혀 그것을 열번넘게 낡아서 바꾼이도 있다고 하니 몇번을 읽었다는 이야기인지 모르겠다. 하지만, 요즘은 책이 너무 많다. 필독서라고 하는 책들만 해도 이곳 저곳에서 추천하고 권장하는 것만도 다 읽어 보기 힘들 지경이다. 책을 읽기 위해서는 책을 잘 고르는 안목도 길러야 하는게 요즘 세상이다.

  우선 서점에서 눈에 띄는 책을 사 읽을 수도 있지만 이 바쁜 세상에 그래도 조금더 나에게 도움되고 나에게 맞는 책을 읽는 것이 현대인의 책읽기 지혜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아는 지식인들의 서재에는 어떤 책이 꼽혀있고 어떤 책에서 어떤 느낌을 받으셨는지를 안다면 엄청 도움이 될것같아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좋은 사람을 만들고 사람은 책을 만든다고 하지만 같은 책을 읽고도 다른 인물이 될 수있으니 책을 읽고 나서는 모두 독자의 몫인 것이다.

이 책에서 우선 책도 많이 쓰시고 전공도 나와 같으신 조국님의 서재가 정말 궁금했다. 우선 조국님의 서재에서는 나의 상상을 덮었다. 물론 본인이 소개하신 책들도 훌륭하지만 책장에 한문이나 외국어로 된 유식하고 고리따분한 책들만 있을 것이라 짐작했는데 뚯 밖에도 내가 좋아하는 공지영님으 책이나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 등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역시 조국님은 고리따분하신 교수님이 아니신것이었다. 

 교수나 학자가 지옥에 가면 그곳에서 받는 첫 번째 벌이 아마 사놓고 안 읽은 책들 다 읽고 서평, 독후감 쓰는 걸 거예요.저도 사놓고 안 읽은 게 제법 많아요. 선물로 받고서 1,2년 뒤에나 읽는 경우도 있어요. 정말 지옥에 가면 그걸 벌로 받아서 정리하려고요. 
 
페이지 : 13  
 
저는 이 글을 읽으면서 나만 책욕심에 책을 사 모으는게 아니구나 했습니다. 물론 사서 읽는 책도 많지만 선물 받은 책들은 더 빨리 안 읽어 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럼 한 두달은 물론 몇년 지나서 읽는 경우도 생기는 게 제가 게을러서 그런거라 생각했는데 어떻게 교수나 학자님들과 공감가는 부분이 있다는게 너무 좋았습니다. 사실 좋은 일은 아닌데......

그외 많은 분들의 많은 추천 도서들과 이야기들이 있지만 어떻게 그 중에 내가 읽은 책이 서너권 밖에 없는지 너무 심했다. 내가 무식한가 싶기도 하다. 그중 한복디자이너 이효재님은 만화를 엄청 소장하고 계셨다. 난 만화를 잘 보지 못한다. 글과 그림을 따로 읽고 머리속 정리가 안되기 때문에 힘들다. 아마 머리가 나빠서 그런가 보다 그 중에 캔디는 읽었지만, 글자만 읽으면 상상도 하고 좋다. 자신만의 영역을 독서에서도 표하시는 그분이 존경스럽다. 그림 많은 책을 많이 보셔서 디자이너가 되셨는지는 모르겠으나 본인의 주관되로 사시는 모습도 아름다웠다.  일일이 열거하긴 힘들지만 올해하반기는 이분들의 추천 도서를 한분에 한권씩 읽어 볼 작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