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유도원 세트 - 전2권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예전부터 관심은 있었지만 읽지 차일 피일 미루다 읽지 못하고 있었던 몽유도원, 김진명 작가님과의 작가강연회에서 몽유도원도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는 갑자기 미치게 보고 싶어 졌다. 그래서 집에 돌아 오자 마자 인터넷으로 주문부터 했다. 김진명 작가님의 책은 많은 분들이 그렇겠지만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로부터 시작되어 그의 미스터리한 소설들을 읽었을것이다. 93년 당시 난 이모와 책을 나눠서 샀었다. 돈이란게 많이 없던 시절 애들도 어리고 그러다 이모를 살살 꼬셔서 세권다 내가 소장중이다. 93년 초판 2쇄 빨간 표지가 너무 인상깊은 그 소설 이후로 난 아이둘 키우고 직장 다니면서 시집살이 하느라 핑게같지만 책은 거의 못 읽었던것 같다. 겨우 한달에 한권정도로 기억한다. 그러다 몇년전 천년의 금서를 만나고는 다시 나의 독서의 불이 붙어 현재 직장생활을 하지만 한달 평균 10권이상 읽고 있다. 다시 활자 중독의 시작이다. 그러다 황태자비를 다시 한번 더읽고 고구려를 읽고는 이제사 만난 님이 몽유도원  읽다 보니 내용은 대충 긴가 민가 한게 아마도 10년 전 쯤 한번쯤 만난 친구 같은 느낌이다.

얼마전 프랑스에서 의괘가 돌아 오고 또 몇일전에도 외규쟝각 도서 반환 소식도 들었지만 지인과의 통화에서 챙피함을 견딜수가 없었습니다. 그저 빼앗긴 것을 찾아 왔다. 정도만 알고있던 나는 뉴스도 제대로 안본 내 자신이 부끄러웠습니다. 지인이 이번에 프랑스를 다녀오면서 못내 찜찜하다는 말의 뜻이 그 의괘가 돌려 받은 것이 아닌 대여라는게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았다. 왜 내 물건을 빼앗겨서 찿아오는데 그것이 빌려 와야하는지 그 소유권이 왜 도둑에게 있는 것인지 아니 강도인가? 프랑스가 그러한데 저 일본은 더 하지 않겠나 싶은게 더 속이 뒤집어졌다.

몽유도원에 나오는 가즈오같은 삶을 사는 사람 또한 많이 존재 한다는 것, 그리고 자신의 뿌리를 찾으려고 진실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이와 그 진실을 믿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이 또한 있다는 사실이 우리 민족의 현실인듯하다. 현재도 일본 뿐만 아니라 세계 숨은 어딘가에 우리나라의 사라진 역사와 진실이 숨겨져 있다는 것은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진실이지만 몽유도원처럼 자기 고향을 못찾고 늘 어딘가에서 고향의 공기를 그리워 하고 있으리라. 그렇다고 너무 비관할수만은 없는 것은 상훈이나 하나코같은 젊은이가 어딘가에 하나둘 늘어 나고 있으리라는 믿음이다. 그러기 위해서도 역사교과서의 외곡이나 뒤틀린 역사는 바로 잡아 줘야 한다고 본다.
비록 시간이 노력이 돈이 들더라도 할 것은 하고 지나가야 후손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기성세대라 할 수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어차피 지나온 역사 그러니까 식민지나 전쟁의 얼룩은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그 속에 숨겨져 있떤 많은 진실들을 조금씩 밝혀 지길 바란다. 작가님 말씀이 소설은 진실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나도 충분히 인정하고 초판이 나온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도 몽유도원도는 한국에 돌아 오지 못하고 있다. 프랑스의 의괘를 시작으로 이젠 이땅으로 돌아오는 길이 트였으니 줄줄이 돌아오리라 믿는다. 그 몽유도원도가 얼마나 예술적 가치가 있는지 우리도 이제 알아야하고 언제든 원하면  볼수있는 곳에 있길 바란다. 우리집이랑 가까운 국립중앙박물관이면 더 좋고. 한국 어느땅이든 돌아 오는 날을 기다려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