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키, 하루키 - 하루키의 인생 하루키의 문학
히라노 요시노부 지음, 조주희 옮김 / 아르볼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에 대한 평전을 출간하는 일이 종종 있는 일인지는 모르겠으나, 책의 본문을 읽기 전부터 나는 내심 저자의 용기에 조금 놀라고 있었다. 그래서 저자인 히라노 요시노부 스스로도 서문에 밝히고 있는 바대로, 이 평전은 하루키 자신이 수많은 잡지와의 인터뷰, 에세이, 강연 등에서 직접 말한 내용을 바탕으로 무척 조심스레 쓰여 졌다. 사실 애초부터 하루키에 대한 무언가 새로운 정보를 얻을 것이라거나, 색다른 관점으로 심도 있게 꿰뚫는 하루키의 문학세계 따위를 접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는 하지 않았다. 그저 하루키에 대한 팬심 하나로 조금 설레는 마음으로 책장을 넘겼다. 그런데 웬걸, 의외로 이 책은 나를 작가 하루키에게 조금 더 다가갈 수 있게 해 주었다.

 

그동안 나도 하루키 작품의 애독자로서 적지 않은 작품을 읽었다고 생각한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양을 둘러싼 모험상실의 시대, 어둠의 저편, 해변의 카프카, 스푸트니크의 여인,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1Q84.... 아마도 단일 작가의 작품으로는 가장 많은 작품을 읽은 것 같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적지 않게 출간된 그의 에세이도 꾸준히 읽어왔기 때문에 나는 하루키에 대해서는 알만큼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독자 가운데 하나였다. 그런데 히라노 요시노부의 성실한 자료 조사와 문학 연구자로서의 내공 덕분에, 그동안 내가 몰랐던 몇 가지 주변적인 사실을 알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팬들에게는 작가에 대한 사소한 정보도 소중하다!), 하루키 문학을 관통하는 주제의 변화에 대해 전체적으로 조망해보는 계기가 되어서 좋았다.

 

그동안 마치 작가가 의도적으로 감추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로 베일에 가려져있던 어린 시절에 관한 이야기(아님 혹 나만 모르고 있었던 건가...? 아무튼 미시마 유키오처럼 아버지가 승려였다!), 1Q84에 자주 언급되는 아쿠타가와 상에 대한 그의 심상치 않은 트라우마에 관한 이야기, 그리고 엔도 슈사쿠나 오에 켄자부로와 같은 대가들이 각종 문학상 심사위원으로서 하루키의 작품을 평한 심사평 내용 등은 꽤 흥미로웠다.

 

사회 참여적 태도라 할 수 있는 커미트먼트로 이행하기 전 그의 문학이 개인주의를 강조하는 디태치먼트였던 것도 하루키 개인의 특성이 아니라 당시 일본의 세대 전체의 흐름이었다는 저자의 통찰도 재미있었다. 그렇다면 일본은 이제 세대 전체가 보다 사회 참여적이 되었단 말일까? 몇 십 년 늦게 일본의 뒤를 밟아나가고 있는 우리나라는 어쩌면 아직도 국가나 사회적 관습이나 이데올로기로부터 열심히 디태치먼트중인 지도 모른다. ‘개인으로서 독립적으로 느끼고 생각하는 훈련... 확실히 그런 훈련은 좀 더 필요하다.(우리에겐 계몽이 더 필요해요!) 물론 그 개인이 단순한 상품 소비자로 전락하지 않는 것과 더불어서.

 

하루키 소설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에 대한 하루키 자신의 명쾌한 설명도 재미있었다.

 

아무리 도망쳐도 완전히 도망칠 수 없는 문제, 어디까지고 쫓아오는 자아의 그림자 같은 것입니다. 그러니까 주인공인 는 모든 것에서 자유로워지고 싶다고 생각하며 살아가지만, 아무리 도망치려 해도 완전히 도망칠 수 없는 그림자 같은 것, 그것이 바로 양입니다. (74)

 

하루키에게 자아의 그림자란 대체 뭘까? 그게 그에겐 왜 그토록 중요할까...? 그의 책들을 모조리 다시 읽어보고 싶다. 처음으로 평단의 전적인 칭찬을 받아낸 작품이라는 태엽감는 새 연대기』 3부작과 함께. 


그가 많은 이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예루살렘 상을 수상할 때 했던 유명한(일부에서는 비아냥거리가 되었던) ‘벽과 계란연설의 한 부분은 소설을 사랑하는 독자로서 절로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제가 소설을 쓰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개인의 혼이 가진 존엄함을 드러내어 거기에 빛을 더하기 위해서입니다. 우리들의 혼이 시스템에 끌려 들어가 멸시당하는 일이 없도록 항상 거기에 빛을 비추고 경종을 울리는 것, 그것이야말로 이야기의 역할입니다. 저는 그렇게 믿고 있습니다. 삶과 죽음의 이야기를 쓰고, 사랑의 이야기를 쓰고, 사람을 겁주고 울고 웃게 만듦으로써 개개인의 영혼이 가진 소중함을 밝히려고 계속해서 시도하는 것, 그것이 소설가의 일입니다. 그 때문에 우리들은 매일 진지하게 허구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153)

 

책의 거의 절반에 달하는 분량을 채운 뒷부분의 하루키 작품 줄거리 모음을 보고는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지만, 앞부분 내용의 성실함을 감안해서 그냥 너그러이 보아 넘기기로 했다

 

2013. 04. 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