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인간인가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의 기록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것이 인간인가』는 ‘이것은 인간이 아니다’라는 말을 웅변적으로 질문하고 있다. 때문에 이 책을 읽는 일은 ‘이것은 인간이 아니다’라는 것을 매 문장마다 확인해야 하는 아주 불편하고 고단한 작업이다. 작가가 자신을 이런 지옥에 살게 만든 나치즘에 대한 원한이나 분노의 감정을 최대한 배제하고 사실만을 담담하게 적고 있으므로 함께 분노하거나 공감하지도 못하는데도 그렇다.

 

읽는 내내 인간이 얼마나 악해질 수 있는지 또 비참해질 수 있는지 그 바닥을 확인하게 되고 끝내 인간에 대한 환상을 접게 만든다. 그러므로 어떻게 인간이 이럴 수 있지?라고 되묻거나 책 속의 내용을 복기하는 일은 얼마나 무의미한 일인가! 그리고 마지막 책장을 덮으면 -책을 덮는다고 기억마저 덮혀지랴만- 인간에 대한 모든 환상을 깨야 한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인간이라고, 가장 비현실적인 일은 현실 속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인간적’이라는 말은 얼마나 피상적이고 환상적인가를 다시 생각해야한다.

 

레비는 왜, 어쩌자고 이런 글을 썼을까.

 

“코만도의 동료들은 나를 부러워한다. 그러는 게 당연하다. 어떻게 내가 만족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지만 아침에 내가 사나운 바람을 피해 실험실의 문지방을 넘어서는 순간 바로 내 옆에 한 친구가 등장한다. 내가 휴식을 취하는 순간마다, 카베에서나 쉬는 일요일마다 나타나던 친구다. 바로 기억이라는 고통이다. 의식이 어둠을 뚫고 나오는 순간 사나운 개처럼 내게 달려드는, 내가 인간임을 느끼게 하는 잔인하고 오래된 고통이다. 그러면 나는 연필과 노트를 들고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는 것을 쓴다.” -216

 

프리모 레비가 포로수용소의 노동현장에서 실험실로 배치를 받은 후에 적은 글이다. 매일 매순간 굶주림과 추위와 혹독한 노동으로 인해 죽음의 문턱까지 내몰릴 때 인간은 자살을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다. 생각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지 못할 것이다. ‘아니 끊임없이 죽음이 닥쳐오기 때문에 죽는다는 생각에 집중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살을 생각하는 것은 오히려 사치이고, 살려는 본능만이 살아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유일한 증거다. 잠깐이나마 이런 상황에서 한숨 돌리게 되었을 때 인간은 인간에 대해 생각하게 되는 가보다. 그리고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는 것을 쓴다.’

 

죽은 자들은 그 시대를 증거할 수는 있지만 증언할 수 없다. 살아남은 자만이 죽은 자를 대신해 증언할 수 있다. 레비는 죽은 자들의 영혼을 대신해 증언하기 위해 썼다. 그러나 1987년 끝내 그는 생을 마감한다. 아우슈비츠에서 자신이 살아남은 것은 순전히 운이고 적절한 시기에 아팠기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어쨌거나 극한의 상황에서도 살아남았던 그가 아파트 4층에서 뛰어내려 자살했다. 『이것이 인간인가』에 실린 쁘리모 레비의 연보에는 자살이라는 말은 없다. 대신 “1987년 3월 <주기율표> 프랑스어판과 독일어판 출판, 레비는 외과 수술을 받는다. 4월 11일 토리노 자택에서 사망했다.”고 적혀있다.

 

그는 왜 ‘이것이 인간인가’라고 물어야했을까? 단지 아우슈비츠에 대한 고발과 폭로를 위해서였을까? 게르만족은 유대인보다 우월하다는 민족우월주의, 유대인은 인간이 아니라 노예이며 짐승이라는 사상의 희생자였음에도 왜 그는 인간으로서 수치심을 느껴야했을까? 그리고 그는 왜 자살했을까? 나의 이런 질문에 레비는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는다. 한나 아렌트는 유대인 학살을 열정적으로 실행에 옮긴 아이히만에게서 세 가지의 무능성을 발견하는데 그것은 말하기의 무능성, 생각의 무능성,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기의 무능성이었다. 나의 이런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아이히만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내 안의 무능성에 대해 물어야할 때인 듯하다. 그리고 이것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함께 해야 할 질문이다.

 

 

눈여겨 봐둘 것

1.『이것이 인간인가』 신곡의 플롯을 따르고 있다. 지옥-연옥-천국으로의 이행을 지옥과 다름없는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강제 이송-실험실로의 재배치-이탈리아로의 극적인 생환과 맞물려 있다.

 

 

2. 수용소는 우리를 동물로 격하시키는 거대한 장치이기 때문에, 바로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동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곳에서도 살아남는 것은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나중에 그 이야기를 하기 위해, 똑똑히 목격하기 위해 살아남겠다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 우리의 생존을 위해서는 최소한 문명의 골격, 골조, 틀만이라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우리가 노예일지라도, 아무런 권리도 없을지라도, 갖은 수모를 겪고 죽을 것이 확실할지라도, 우리에게 한 가지 능력만은 남아있다. 마지막 남은 것이기 때문에 온 힘을 다해 지켜내야 한다. 그 능력이란 바로 그들에게 동의하지 않는 것이다. -p58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anca 2012-06-05 09: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읽으셨군요! 저는 기억이 어렴풋한데 레비가 어린 청년에게 단테의 신곡을 설명해 주던 그 대목이 떠올라요. 프리모 레비의 자살은 결국 '이것이 인간인가'에 대한 절망과 관련 있다고 생각했어요. 살아남아도 인간에 대한 실망은 끝까지 남는. 반딧불이님이 얘기해 주신 '무능감'이 와 닿아요.

반딧불이 2012-06-05 15:07   좋아요 0 | URL
네..프랑스 청년 장에게 신곡 지옥편 제 26곡을 읽어주죠.
저도 그 부분 때문에 플롯을 눈여겨 봤어요. 그런 상황속에서 문학작품이 위로가 되는것이 놀랍기도 했구요.
'무능감' 지금 우리에게 가장 절박하고 꼭 필요한 것인지도 모르겠어요.

참..얼마전 올려주신 리뷰에서 중년여성과 사춘기 소녀의 사랑감정에 대한 얘기를 읽고 고개를 주억거렸답니다.^.^

노이에자이트 2012-06-05 17: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독일보수우파의 과거사 왜곡작업을 다룬 책들을 본 뒤에 프리모 레비를 알게 되어 레비가 왜 자살했는지 이해가 가기도 하더라고요.80년대 중반에 특히 독일우파의 역사왜곡이 세력을 얻었으니까요.

아마 지금 레비가 독일의 현실을 바라본다면 더 한숨을 쉬고 있을 겁니다.올해 초 시사주간지 슈테른에서 독일 젊은이들의 역사관을 조사한 결과가 나왔는데 독일이 과거사 때문에 다른 민족에게 책임감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65%에 이르더군요.우리나라도 독일 보수우파의 과거사 왜곡 작업방식을 면밀히 연구해야 국내의 왜곡세력들과 제대로 맞설 수 있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반딧불이 2012-06-07 01:05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레비의 자살 이유에 대해 이런저런 생각을 해보지만 결국 내 안의, 혹은 우리 안의 문제로 환원될 수 밖에 없더라구요.

과거사에 대한 책임감 문제는 놀라운 결과네요. "집단적인 유죄의 고백은 범죄자를 발견하지 못하게 하는 가장 탁월한 방어수단"이라는 아렌트의 말이 마음에 와 닿아요. 유익하 말씀 고맙습니다.

루쉰P 2012-11-20 1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군대에서 읽었던 책이에요. 제가 정말 좋아하는 작가이기도 하구요. 이 책을 시작으로 서평을 쓰는 것을 시작했었죠.
그의 죽음의 이유는 저도 많이 생각하는 부분이에요. 서경식 교수의 '프리모레비를 찾아서'라는 책도 참으로 좋아하며 읽었죠. ^^
반딧불이님 잘 지내시죠. 저도 이제 1년만에 서재에 다시 왔어요. 푸하하하 ^^;;

반딧불이 2012-11-21 00:28   좋아요 0 | URL
정말 오랜만이네요. 그동안 어떻게 지내셨는지요? 가끔 책주문 하러 와서 들려보았지만 썰렁하던데 다시 오셨다니 반갑습니다. 자주 오진 못하지만 종종 뵙기를 바래봅니다. 기온이 많이 내려가나봐요. 건강한 겨울 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