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정판
나쓰메 소세키 지음, 유은경 옮김 / 향연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문』은 소세키의 전기 삼부작 중 마지막 작품이다. 이 작품은 1910년 3월 1일부터 6월 12일까지 도쿄와 오사카의 아사히신문에 동시 연재되었다. 이 책에는 제목에 얽힌 에피소드가 있다. 신문사에서 다음 작품의 예고를 위해 책 제목을 말해달라고 하자 소세키는 친구에게 제목을 정해보라고 했다. 고민하던 친구는 책상위에 뒹구는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아무데나 펼쳐 눈에 띄는 ‘문’이라는 단어를 권했다고 한다. 우리는 이렇게 아무런 의미 없이 정해진 제목의 소설을 의미 있게 읽고 있는 셈이다. 제목을 받고 소설을 구상한 것인지 초안이 잡힌 상태에서 제목과 관련지었는지는 알 수 없다. 소세키의 책 제목들은 이런 에피소드를 갖고 있는 것들이 많다.

‘어지간히 배짱 없는 분’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여자가 다른 남자에게 시집가는 것을 보고만 있었던 대학생 산시로, 대학 졸업 후 아무런 직업 없이 자신의 취향만 가꾸다가 친구의 아내를 사랑하게 되자 밥벌이에 나설 운명에 처한 다이스케, 『문』은 그 후의 이야기로 대학 2학년의 소스케가 주인공이다. 소세키의 전기 3부작은 주인공들이 처해진 상황이 연결될 뿐 이름은 각기 다르다.

소스케는 단짝 친구인 야스이 집을 드나들다가 여동생이라는 오요네를 소개받는다. 일을 저질러놓고 보니 그녀는 친구의 여자였다. 불륜이 발각되었을 때 소스케는 비록 자퇴의 형식을 취하기는 했지만 학교에서 퇴학당했다. 그 충격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버지도 돌아가셨다. 그들은 부모도 친척도 친구도 버렸다. 일반 사회를 버린 셈이다. 그리고 그들은 막다른 골목의 벼랑아래 작은 셋집을 얻어 살고 있다. 그들의 행동반경은 너무나 좁아서 한 귀퉁이 옅은 물에 개구리 알을 띄운 한마지기 논도 넓어 보일 지경이다.

이렇게 해서 두 사람은 함께 살게 되지만 이 작품의 초점은 그들의 애틋한 사랑에 있지 않다. 오히려 죄책감을 안고 서로에게 상처가 될까 말조심 하며 살아가는 부부의 잔잔한 일상과 내면을 그리고 있다. 그들은 함께 산지 육년이 되었지만 아이가 없다. 오요네가 세 번씩이나 유산을 한 탓이다. 그녀는 자기에게 아이가 없는 것이 자신들이 저지른 죄 값이라고 생각한다. 소스케는 주인집에 놀러갔다가 우연히 옛 친구 야스이 소식을 듣게 된다. 그는 야스이를 맞닥뜨릴 것이 두려워 피난 가듯이 절에 들어간다. 일주일간의 휴가를 얻어 참선에 들었지만 해답을 구하지 못한다.

소세키의 대부분의 소설이 그렇듯이 이 소설의 무게중심 역시 사건에 있지 않다. 때문에 주인공들의 심리묘사가 주를 이룬다. 이렇다한 사건의 전개가 없기도 하고 그나마 있는 사건마저 정면대결을 피하는 소설 속 주인공들을 따라가다 보면 내가 뛰어들어 맞짱 뜨고 싶은 심정이 되어버린다. 소세키는 이 소설의 연재를 마치고 위궤양으로 한 달 넘게 입원을 하게 된다. 온천으로 전지요양을 떠났지만 증상은 더욱 악화되고 대량의 각혈을 한다. 이렇게 속 타는 인물들을 그려 내고도 위장병이 도지지 않고 각혈을 하지 않으면 사람이 아닐 듯 싶기도 하다. 사회적 비난을 감수하는 근대적 자아의 욕망을 다루면서 그 비난을 소세키가 다 짊어진 것은 아닌가 싶다. 소세키는 그의 전기 3부작을 통해 사회와 화합하지 못하는 지식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그리고 그들의 내면을 그리는데 주력했다. 후기 삼부작은 어떤 형태로 진행될지 어렴풋이 짐작이 가면서도 기대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0-03-04 0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읽어보고 싶어요!!!
소스케라는 이름은 우리 해든이가 좋아하는 ponyo에 나오는 남자주인공 이름인데!!ㅎㅎ
잘 기억이 안나지만 소세키의 [산시로]가 일본 문학에서 처음으로 주인공에게 이름이 주어지는 소설인가요???소세키의 산시로 이전의 작품에서는(제가 알기로 두권-님이 올리신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와 [도련님-]을 보면 주인공들은 이름이 없었던게 맞는듯 싶은데,,,)갑자기 쌩뚱맞게스리,,;;
아니면 소세키 이전의 일본 문학엔 인물들의 이름이 없고 인물들을 장황하게 설명만 했나요???예를들어 머리에 모자를 쓰고 긴 코트를 멋스럽게 입고 있는 키가 좀 큰 편인 여자,,,뭐 이런식으로 말이지요,,,ㅎㅎㅎ(검색하기 귀찮아서 님을 귀찮게 하기로 결정함,,ㅋㅋ)

반딧불이 2010-03-05 16: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야자키 하야오가 소세키를 좋아해서 자기 영화에다가 소스케를 그대로 썼다고 해요.

일본 문학에도 주인공이름은 다 있어요. 나비님. 소세키 초기작품에만 주인공들이 이름 없이 등장하죠. 그냥 '도련님'이라든가, 그냥 '고양이'일 뿐이죠. 이런 귀찮음은 마구 환영이에요~

바밤바 2010-03-07 0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딧불이 님 사진에 나오는 그림 누구 그림이에요?
번 존스 그림인가요? 제 아는바를 드러내려는 게 아니라 그림에 워낙 관심이 많아서 여쭈어 봅니다. 작은 사진으로 봤을 땐 아라크네가 실 짓는 그림이라고 봤는데 큰 사진으로 보니까 책 읽는 그림이네요.
그리고 소세키 관련해선 앞으로 물어볼 게 많을 듯. 좋은 글 꾸준히 기대할께요^^

반딧불이 2010-03-07 13:36   좋아요 0 | URL
제 모르는 바를 드러내야하는 질문을 하셨네요. 예전에 밀레이의 '오필리아'를 뒤지다가 외국의 어느 박물관 싸이트에서 가져왔는데요. 저한테는 낯선 이름이어서 어디다 적어두긴 했는데 아무리 찾아도 없어요. 바밤바님 음악에도 그림에도 조예가 깊으신듯하니 혹시라도 찾으면 저도 좀 알려주세요.

스트레인지러브 2010-03-16 1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엇? 포뇨의 소스케가 [문]의 소스케에서 따 왔다고요? 이것 참 신통하네요.
삼각관계에 대한 죄책감에서 사회와 동떨어진 생활 하는 거 보니 [마음]의 선생님삘이...
거기에서 선생이 "사랑은 죄악입니다" 운운하는 것만 봐도 속 탔는데 이 작품도 오죽하겠나
싶긴 하네요. 그래도 읽어봐야 할 것 같은.

반딧불이 2010-03-16 12:26   좋아요 0 | URL
ㅎㅎ 마음님 벌써 삘이..? 사실 마음은 소세키 삼부작 이후의 뒷얘기라해도 전혀 손색이 없을 것 같아요. 어쨌거나..<마음>은 정말 속태우는 작품이죠. 가끔 소세키 읽으면서 저도 뒤집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