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 골드의 <골리앗>을 처음 보곤 시큰둥했다. 용기 있고 똑똑한 꼬마 다윗이 무섭고 힘센 거인 골리앗을 이긴 이야기라면 하도 많이 접해서 식상할 지경이었으니까. 아마 <골리앗>이 80여 쪽에 불과한 만화책이 아니었다면 펼쳐보지도 않았을 것이다. 만화책이니까 가볍게 ‘또야?’ 하는 냉소적인 눈길로 훑어볼 수 있었던 건데, 그러다 문득 멍해졌다. 한밤중 혼자 강에 나온 골리앗이 조약돌을 들고 가만히 들여다보다가 다시 강으로 돌려보내는 장면에서였다. 왜 그럴까? 무슨 뜻일까?

 

책장을 넘겨 처음부터 다시 읽었다. 이번엔 천천히 한 컷 한 컷, 과묵한 흑백 그림을 오래오래 보았다. 그렇게 보름달 아래서 하염없이 조약돌을 바라보던 골리앗의 속내를 상상하는 사이, 어느새 마음은 돌이 들어앉은 듯 무거워졌다. 그 마음은 책장을 덮을 때까지, 아니 책장을 덮은 뒤에도 계속되었다. 누구보다 고요를 사랑했으나 단지 몸집이 크다는 이유만으로 전사가 된 골리앗이 홀로 황야에 앉아 있던 모습이 지워지지 않았다.

 

옛날 옛적 블레셋 사람 골리앗이 겪었을지도 모를 비극을 상상하자 강물 속에서 돌멩이가 떠오르듯 2천여 년이 지난 오늘 그의 후손들이 겪는 참혹한 현실이 떠올랐다. 작은 나라 이스라엘을 괴롭힌 죄로, 돌멩이를 던지고 제 몸을 폭탄으로 내던진 ‘무자비한’ 테러의 대가로, 거대한 장벽 안에서 대규모 공습을 당하는 잔인한 ‘테러리스트’들이 떠올랐다.

 

그랬다. 톰 골드가 일깨웠듯, 거인 골리앗은 칼 한 번 휘두른 적 없었다. 그의 칼엔 누구의 피도 묻은 적 없었다. 그는 그저 말을 했을 뿐. 어리석게도 그 말 때문에 제 칼에 제 피를 묻히고 말았을 뿐. 그도 그의 후손들도 다만 어리석었을 뿐. 고작 말 한 마디 돌멩이 따위로 제 땅을 지킬 수 있으리라 믿을 만큼 바보같이 순진했을 뿐.

 

순진함은 죽어 마땅한 죄일까. 어쩌면 그럴 것이다. 중동 전문 종군기자 로버트 피스크는 <전사의 시대>에서 현대의 위인을 열거한다. 그들은 하나같이 순진하다. 1차 대전 때 애국심이 전부는 아니라며 국적을 가리지 않고 치료하다가 독일군에게 사형당한 간호사 에디스 카벨, 팔레스타인 난민촌을 부수는 이스라엘 군 불도저를 맨몸으로 막아섰다가 참혹하게 죽은 미국 아가씨 레이첼 코리처럼. 불도저는 코리의 몸을 밟고 지나간 뒤 후진해서 다시 한 번 그녀를 깔아뭉갰다.

 

내가 아는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은 이것이었다. 인간의 양심을 믿고 맨몸으로 맞선 코리가 다윗이고 그녀를 짓밟은 무도한 불도저가 골리앗이라고 알아왔다. 허나 아니었다. 이스라엘은 그녀를 죽인 군인은 무죄라 했고, 미국 정부는 그녀는 용감한 다윗이 아니라 어리석은 비애국자라고 했다. 내가 알던 다윗과 골리앗, 불가능한 싸움을 이길 수도 있으며 중요한 건 패배를 모르는 정신이라고 가르쳐주었던 옛이야기는 없었다. 피스크가 신물을 내던 상투적인 언어, 거짓 은유만이 있을 뿐.

 

피스크는 “우리의 삶을 빚어내는 건 언어와 역사”라 했다. 그의 곧은 언어와 골드의 새로운 그림언어는 ‘전사의 시대’에 전사가 되기를 거부한 인간이 겪어야 했던 고독과 죽음을 되돌아보게 한다. 거짓 은유를 뒤집은 그들의 언어 덕분에 지워진 역사가 되살아나고 삶이 다시 시작된다. 참된 언어는 힘이 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