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가 눈물을 흘릴 때
어빈 얄롬 지음, 임옥희 옮김 / 리더스북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따귀맞은 영혼]을 읽다가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읽었다. 브로이어와 니체의 대화라고? 독특한 설정에 끌려 읽었다.  

프로이트의 스승인 브로이어는 루 살로메의 요청으로 니체의 치료를 맡는다. 하지만 니체가 순순히 자신의 속내를 털어보일 사람이던가. 상담은 처음부터 난항을 겪고 고민 끝에 브로이어는 특단의 대책을 내놓는다. 한마디로 역할 바꾸기. 니체에게 자신의 실존적 고민을 치료하도록 함으로써 니체 자신의 문제를 드러내도록 하겠다는 이 도전은, 그러나 뜻밖의 결과를 가져온다. 

소설은 소설인지 사실인지 알 수 없을 만큼 두 사람의 언어에 정통하며, 진지한 철학서로도 정신분석 입문서로도 읽힌다. 하지만 그보다 더 독자인 나를 사로잡은 것은, 중년에 이르러 삶의 허무에 빠진 브로이어의 고민이다.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고민이었지만 상담을 하는 과정에서 그 심연이 얼마나 깊고 헤아릴 수 없는지가 드러나고 그는 점점 더 절망한다. 치유 혹은 위로를 생각하고 시작한 대화는 오히려 절망을 더하는 듯하다.  

어쩌면 내가 허허로움을 느낌과 동시에 나 자신을 서둘러 추스르고 현실에 몰두하는 이유 또한 이 때문인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더 깊은 절망에 빠질까 두려워 외면하는 것. 브로이어를 추동한 힘은 처음엔 의사로서의 책임감이다. 타인의 문제일 때 더 집중하는 나 자신을 보며 어이없어했지만 이 또한 자연스러운 모습인지도 모른단 생각이 든다. 타인을 내세우지 않고 자신에게 몰입할 용기가 없는지도. 니체 역시 이 점에선 마찬가지다. 철학을 위해 기꺼이 병을 앓는다고 말하던 니체지만, 그 역시 자신의 병을 병으로 인정하고 대면할 용기를 내기란 쉽지 않다. 브로이어의 헌신을 통해서 그는 관계를, 자신을, 자신의 인간학을 바라볼 새로운 시선을 갖게 된다. 

책을 읽으면서 이런 대화를 나눈다면 그것은 참 고통스러우나 참 행복한 일일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관계의 끝장까지도 염두에 둔 토론을 해본 기억이 꽤 멀다. 그건 내 인생의 문제일까, 이 시대의 관행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