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만 하다보니 무슨 책을 읽었는지도 가물가물하다. 이러다 읽은 책 또 읽다가 어? 하겠다. 그래서 간단히 정리해둔다.

[나이 들수록 왜 시간은 빨리 흐르는가]는 꽤 기대를 갖고 읽었는데 좀 평이하다. 시간에 대한 철학적 접근이라기보다 기억에 대한 인지과학적 에세이. 재미있는 내용도 있긴 했으나 새롭게 다가오는 내용은 적은 편. 

[우리와 그들 무리짓기에 대한 착각]은 이런 주제의 책이 드물어서 읽게 된 책. 전체적으로 산만한 느낌이 있고, 연구사례를 집중하고 자신의 논지를 전개하기보다 나열식으로 서술되어 아쉽다. 하지만 '무리짓기'에 따른 '우리'와 '그들'의 형성이,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구성된다는 저자의 주장은 새겨둘 만하다.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이 답을 결정한다는 레이코프의 주장에 저자도 전적으로 동의한다. 무리짓기 역시 상황에 따라, 그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 

피카소에 관한 갑작스런 궁금증으로 읽은 책들. 김원일의 [발견자 피카소]는 피카소의 생애를 정리하면서 작품을 소개하는데 새로운 느낌은 없다.  

반면 [창조자 피카소]는 예술가로서의 피카소에 대해 깊이 생각해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책에 도판이 없어서 본문에서 말하는 작품이 무언지 도무지 알 수 없을 때가 많다. 작품 제목이 책마다 다른 것도 이런 점을 부추긴다. 도판이 원서에도 없었는지 모르겠지만 정말 아쉽고, 그래서 2권은 안 읽었다.   

마로니에북스의 '피카소'는 도판이 많은 책이라 쏠쏠하게 읽었다. 그런데 작품설명에 교정 오류로 의심되는 점이 있어서 신뢰도가 반감되다. 

[피카소 만들기]는 흑백이지만 도판도 적절히 있고 내용도 충실해서 재미있게 읽다. 화상, 큐레이터, 화가들 사이의 밀고당기기를 엿보는 재미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