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얼굴
니겔 발리 지음, 고양성 옮김 / 예문 / 2001년 7월
평점 :
품절


최근 죽음에 대한 책들이 속속 출판되고 있다. 삶과 죽음의 경계가 문제시되는 시대에, 제대로 된 삶을 위해서도 죽음에 대한 반성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죽음의 얼굴]은 '죽음을 통해 본 인류의 문화'라는 부제처럼 죽음에 대해 문화인류학적으로 접근한 책이다. 니켈 발리는 직간접적으로 수집한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시대와 지역, 종족과 문화에 따라 죽음이 얼마나 다르게 해석되고 수용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은 니켈 발리가 예시하는 죽음에 관한 다양한 담론들을 확인하는 일이다. 그리스, 중국으로부터 아프리카와 폴리네시아 등지의 원시 부족에서 전해지는 다양한 신화와 전설, 그리고 여러 종교의 경전과 의식은 죽음의 표현이 상상할 수 없을만큼 다양함을 보여준다. 죽음에 대한 반응 또한 슬픔과 분노로만 획일화되어 있지는 않다. 때로 죽음은 유머와 조롱을 동반하며 때론 격렬한 자해나 폭력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그러나 책을 읽다보면, 원시종족들의 이해하기 힘든 극단적 반응과, 문명사회의 정돈된 장송의식 사이에 차이는 크지 않음을 느끼게 된다. 죽음이란 인간이 해석할 수 없고 경험할 수 없는 유일한 경험이다. 죽음이 공포를 일으키는 것은 그때문이다. 공포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그것을 어떤 식으로든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이다. 이 책에 등장한 신화와 장송의식들은 죽음을 이해하려는 인간의 끝없는 노력을 반영한다. 각 민족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죽음을 자신의 공동체, 그 삶 속으로 포섭한다. 니켈 발리는 죽음을 삶의 일부로 소화하려 한 인간들의 끝없는 고투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 책을 읽는 것은 쉽지 않다. 무엇보다 문맥이 통하지 않는 번역과, 심심치 않게 눈에 띄는 오자가 읽는 이의 인내심을 시험한다. 내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주나 역주가 없는 것도 아쉽다. 또한 각각의 제목이 붙은 11개의 장들로 나뉘어 서술되어 있으나 정작 내용과 제목과의 연관성이 도드라지지 않는다는 점도 독서를 방해한다. 이것은 광범한 자료제시에 비해 저자의 문제의식이 뚜렷하지 않은 점과 결합해, 책이 전체적으로 난삽한 인상을 주는데 일조하고 있다.

책장을 덮으며 죽음에 대해 더 많은 저술이 나와야 하리라 생각했다면 나만의 억견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