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인열전 2 (반양장) - 고독의 나날속에도 붓을 놓지 않고
유홍준 지음 / 역사비평사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유홍준님의 필력이야 유명한 것이지만, 사실 이 책을 빛나게 하는 것은 저자의 글솜씨라기 보다는 원텍스트인 화인들의 눈부신 그림들이다. 열마디 말이 무색한 그림들. 그리고 그 그림의 도판들을 찾아내고 보기좋은 상태로 전재한 저자와 출판사의 노고는 진정 치하할 만하다.

그러나 저자의 글에 관해선 아쉬움이 남는다. 무엇보다 이 책의 대상이 우리 미술에 대해 관심을 가진 일반독자를 염두에 둔 것이라면 글은 좀더 쉽고 친절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미점법이니 남종화법이니 하는 미술사의 개념들은 중국과 한국 미술사에 대한 어느정도의 소양이 갖춰져 있지 않은 독자들에게는 생소한 것들이다. 따라서 주를 달아서 간단한 설명을 해준다거나 하는 서비스가 필요했다는 생각이다. 그런 것쯤 사전을 통해서건 개론서를 통해서건 스스로 알아야지 한다면 할말은 없다. 하지만 이 책이 전문가를 위한 책은 아니지 않은가?

또 하나의 아쉬움은 각각의 화가에 대한 평가의 잣대가 다르지 않은가 하는 것이었다. 문인화를 고집한 화가와 화원에 소속된 중인화가의 그림에 대한 가치관은 다르지 않았을까? 설혹 같았다해도 그 같음 자체가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점에서 저자는 그림을 인격수양의 하나로, 그 표현으로 본 선비화가와 직업화가인 중인화가들을 별 구별없이 평가하고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예술적 완성도를 최우선의 평가기준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설득력이 있지만 당시의 예술이 사회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었고, 예술가들이 사회적 연관 속에서 어떤 고민을 했는지를 사고하는데는 미흡한 면이 있다.

더구나 지나치게 화려한 수사가 동원된 저자의 글쓰기는 화인 각각의 작품을 음미하는데는 어떤 점에서 방해가 된 측면도 있다. 우리의 미술과 미술가를 재조명한다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것이 무조건적인 미화와 수식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이 책을 읽고 이동주님의 책을 읽으면서 유홍준님의 대중적 접근과 이동주님의 균형잡힌 시각이 함께 어우러진 글이 나온다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미술에 대해 다시 생각케 한 고마운 책이지만 아쉬움도 기대만큼 컸는다는 걸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