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군데의 도서관을 다닌다. 시립도서관 둘, 구립도서관 하나. 집 바로 옆에 있는 구립도서관보다 마을버스를 20분쯤 타야 하는 시립도서관을 자주 가는 이유는 장서량에서 워낙 차이가 나기 때문. 아, 또 하나, 커피를 마시며 책을 볼 수 있는 시립도서관과 달리 구립은 연필과 공책을 제외하곤 암것도 반입금지다. 그래서 쾌적하긴 한데 그래도 커피를 딱 갖다놔야 책읽기의 분위기가 잡히니... 음, 고쳐야 할 습관이나 쉽지 않다.

두 개의 시립도서관에서 부지런히 책을 빌리지만 신간을 보기는 쉽지 않다. 웬만한 신간은 대기자가 두셋씩 된다. 이름을 올리고 기다리다보면 무슨 책을 예약했는지도 감감할 때가 있다. 오늘은 가까운 구립에나 갈까 했더니 "띠링띠링" 문자가 왔다. 예약한 책이 들어왔다는 소식. [만들어진 신]이 한 달만에 내 손에 들어왔다. 커피를 한모금 마시고 책을 읽는다. 무신론자인 내게 도킨스의 주장은 새로울 건 없다. 다만, 그가 인용하는 광신자나 무신자의 이야기가 커피를 뿜을 만큼 웃음을 자아낸다. 우주를 떠도는 주전자를 믿는 사람들도 있단다. 하긴 허연 수염을 늘어뜨린 할아버지가 저 하늘에서 굽어보고 있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으니까. 그 신을 섬기지 않아서 복지가 문제라는 복지부 장관 지망생도 있으니까. 책을 읽다보니 신은 웃음을 위해 창조해낸 장치가 아닌가 싶다. 신이 없다면 이렇게 웃을 일도 없겠다. (물론 역사적으로야 신이 있어서 통곡한 일이 더 많겠지만) 책은 잘 읽혀서 두어 시간만에 백 쪽이 금세 넘었다. 근데 슬슬 짜증이 난다. 신이 있어서 신을 믿는다고 하지만 사실은 신이 있다고 믿고 싶은 거고, 신이 없다고 증명한다고 그들이 신이 없다고 믿을까 회의가 든다. 뭣보다 도킨스가 '신'의 위치에 '과학'을 두고 싶은 건 아닐까 의심스럽다. 과학이든 신이든 절대를 자임하는 존재는 거추장스럽다.

책을 덮고 나서는데 일층 강당이 소란하다. 이제 막 시작한 개척교회보다도 작은 강당인데 서울시향에서 온 현악오중주팀이 찾아가는 음악회를 한단다. 마침 입구에 의자 하나가 비었다. 얼른 자리를 잡자마자 음악회가 시작된다. 바이올린 둘,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다섯 명의 연주자가 '사계의 봄'생상의 백조' 같은 유명한 곡들을 연주한다. 강당은 아이들을 데려온 엄마부터 노부부, 머리를 식히러 온 수험생, 호기심 많은 꼬마들까지 빈틈없이 꽉 찼다. 끊임없이 들고나는 사람들로 출입문은 바쁘지만 아름다운 현악의 선율을 놓칠 정도는 아니다. 몸을 비비 꼬면서도 꼬마들은 자리를 떠나지 않는다. 한 곡 한 곡 끝날 때마다 박수소리가 커지더니 나중엔 "와" 하는 함성까지 터져나와서 연주자들을 기쁘게 한다. 앵콜까지 아홉 곡이 끝나고 연주자들도 객석도 모두 환하게 웃는 얼굴로 자리를 일어선다.

시끄럽고 부산한 동네 음악회가 심드렁했던 마음을 활짝 깨운다. 우리의 연주자들은 성실하고 청중은 그들의 성실에 밝은 웃음과 환호로 응답한다. 신이 없어도 세상은 아름답다. 음악이 우리를 행복하게 하고, 비록 넉넉치 않은 살림에도 음악을 즐길 줄 아는 마음이 우리를 풍요롭게 한다. 더 무엇이 필요하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