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백년 18세기 - 동서문화 비교 살롱토크, 문화의 창 6
한국18세기학회 엮음 / 태학사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사에서 18세기는 화려한 문예부흥기, 자생적 개혁의 모색기로 평가된다. 그리고 개혁군주 정조와 박지원, 정약용 등의 실학자들이 보여준 근대지향성이 늘 우리의 가슴을 뛰게 한다. 특히 최근 들어 쏟아지는 박지원 저작들은 이런 관점을 더욱 강화하는 데 일조를 하고 있다. 그런데 개혁자로 통칭되는 이들 사이가 꽤 멀다. 동시대를 살았으나 그들은 서로 무시하거나 견제하거나 대립했다. 그리고 거기엔 근대화의 방법론을 둘러싼 갈등으로 볼 수 없는 측면이 있다. 18세기의 역동성은 분명히 엄연한 사실이나, 그 역동성의 출처가 문장에서 비롯하는지는 되짚어봐야 한다. 특히 거기에 근대의 딱지-탈근대 역시 마찬가지다-를 붙이는 것은, 서구사의 보편론을 조선사에 그대로 적용하는 또다른 '담론의 횡포'인지도 모른다.

18세기의 실체가 궁금하다는 생각을 늘 갖고 있었는데 우연히 이 책을 만났다. '18세기 학회'라는 게 있는지도 이 책을 보기 전까지는 몰랐다. 각국사 전공자들이 함께 모여 18세기를 얘기한다는 출발점이 신선했다. 국경의 울타리, 대륙의 울타리가 역사학자들을 얼마나 얽매는지는 식민사관,동북공정만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그러니 이런 시도는 그 시도만으로도 평가할 만하다.

이 책을 읽다보면 일국사에 갇혀 있던 연구자들의 시각이 같은 시대 다른 나라를 만나면서 새롭게 확장되는 걸 목격할 수 있다. 물론 독자들의 눈도 함께 열린다. 근대화의 성공이냐 실패냐는 사후판단을 앞세워 조선과 중국은 왜 실패했고 일본은 왜 성공했는가 그 요인을 살피자는 게, 이 새대를 다룬 그간의 역사서의 대종이라면 이 책에선 그걸 다르게 생각할 여지를 준다. 일본이 개방에 적극적이어서 성공했다는 통념이 깨지고, 중앙집권과 분권, 권력의 무력함이 미치는 다양한 효과, 실제 18세기 역동성의 주역인 상품경제 담당자들의 활약 등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게 된다. 

이 책이 거둔 성과에는 좌담이라는 형식도 일조를 한 것 같다. 대화로 피력된 주장들은 읽기에 쉬우며, 말하는 이들도 글을 쓰는 부담을 잊고 좀더 편하게 자기 주장을 펼 수 있었던 듯하다. 많은 학자들이 전문가들이 모인 공간에서는 상당히 급진적인 주장들을 상식인 양 얘기하면서도 정작 대중을 상대로 한 글쓰기에선 교과서에서 배운 통념을 확대재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좌담집이 갖는 한계는 있지만 이 책은 전문적 성과를 교양서로 담아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싶다. 앞으로 다른 시대도 이런 식의 연구와 소통이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