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유학과 서양과학의 만남 - 조선후기 서학의 수용과 북학론의 형성
고즈윈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조선후기에 대한 책들을 읽으면서, 과연 이 시대가 그처럼 화려한 부흥의 시대였던가 의심하기 시작한 게 꽤 여러 날 되었다. 하지만 이런 의심을 해갈할 만한 책을 만나기는 쉽지 않았다. 대부분의 책들이 박지원, 홍대용, 정약용 등 당대 최고의 지성에 대해 이론의 여지 없이 실사구시와 이용후생에 전력을 다한 근대적 실학자라고 정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빗겨나는 경우라 해도, 박지원을 근대가 아닌 탈근대의 지성으로 보는 정도이니 나의 의심을 궁구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정조와 그 주위의 지성들이 중세의 유학을 벗어나 근대적 실학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해도, 같은 시대 지방과 집안에서는 철저한 유교 가부장적 질서가 하나의 체제로 완성되고 사람들의 의식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상층과 하층, 서울과 지방, 문화와 체제 사이에 언밸런스가 있었달까. 문제는 이 시기를 근대의 이행기로 이해'해야 한다'는 단계론적 역사 이해가 작동하는 한, 이런 언밸런스를 설명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탈근대 담론조차 근대의 자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그 반향 혹은 비틀기에 머무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근대냐 중세냐, 탈근대냐 라는 담론의 자장에서 벗어나 그 시대에 눈을 갖다대는 투명한 역사학은 불가능한 걸까. 박성순의 이 책은 그런 의심과 불신에 대한 하나의 희망이었다.

박성순은 매우 조심스럽게 기왕의 실학 연구을 뒤집고 있다. 이 책은 말하자면, 뒤집기를 위한 샅바싸움 같다. 새롭게 보기 위해서 새로운 판을 짜야 한다. 문제틀 자체를 바꾸지 않고는 오랜 세월 이런저런 이데올로기로 물든 실학사를 다시 보는 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좀더 강하게 밀고 나갔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은 남지만, 박성순의 시도는 높이 평가할 만하다. 북학론이건 정약용이건 유학의 자장을 벗어난 건 아니라는 건 지금 시기에 반드시 짚어져야 할 대목이다. 정약용과 정조를 유교 이상주의자로 본다고 해서 한국사가 정체된 역사로 퇴보하는 건 아니다. 최한기의 기학을 근대의 출발로 보지 않는다고 해서 한국사를 움직이는 발전의 동력을 무시하는 것도 아니다. 문제는 한국사만의 독특한 역사흐름을 아는 것이다. 근대화란 기본적으로 서구식 자본주의화를 의미한다. 그 길을 밟았느냐 아니냐로 역사의 진보냐 후퇴냐를 말하는 건 우습다. 박성순의 연구가 근대-진보의 역사관 자체에 대한 질문을 포함해 조선 후기에 대한 새로운 역사쓰기를 실현하기를 응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