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여러 날째 보이질 않는다. 아프신 걸까, 드디어 오늘은 걱정이 되기 시작한다. 가벼운 목례 한 번 나눈 적 없는 할아버지지만, 도서관 장기출근자로 서로가 서로의 존재를 잘 아는 사이다. 거의 십년째 도서관에서 안면을 익혀왔는데 요 며칠 모습을 볼 수가 없다. 처음엔 좀 홀가분했는데, 이제는 슬슬 걱정이 된다.

할아버지의 출근지는 정기간행물실이다. 일주일에 한두 번 정기간행물실을 찾는 나는, 처음엔 할아버지의 존재를 눈치채지 못했다. 간행물실을 찾는 열람자들은 도서관의 다른 곳보다 전체적으로 연령대가 높은 탓이다. 주로 4,50대 중년남자들이 책상 가득 신문을 펼쳐놓고 코를 후비며 중요하지도 않은 기사를 달달 욀 정도로 열심히 보는 풍경을 떠올리면 된다. 그래서 간혹 꼭 봐야 할 기사라도 있을라치면 허벅지를 꼬집으며 인내심을 길러야 한다. '휴지통'이나 '부고란'에서도 이들의 시선은 10분씩 머물기 일쑤다. 개중엔 두 개의 신문을 동시에 펼쳐놓고 타의 접근을 불허하는 신문광도 있다. 아무튼, 워낙 눈길을 끄는 이들이 많은 탓에 할아버지가 있는 걸 깨닫는 데는 시간이 좀 걸렸다. 그런데 어느날, 그날도 역시 하품을 참으며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데 맨 앞쪽 책상에 앉아 꾸벅꾸벅 조는 할아버지가 눈에 띄었다. 대학노트와 두꺼운 성경책을 펼쳐놓고 할아버지는 볼펜을 든 채 그대로 졸고 있었다. 그러다 내 시선을 의식했는지 갑자기 번쩍 깨어 두 손을 쭉 뻗고 기지개를 켜더니 다시 공책에 글씨를 써내려갔다. 성경구절을 베끼는 것 같았는데, 죽 베끼는 게 아니라 한 구절을 여러 번 쓰는 듯했다. 큼직큼직한 글씨가 노트에 빽빽했다. 하지만 워낙 쓰는 속도가 느려서 한 쪽을 다 채우는 데 한 시간이 넘게 걸렸다. 아니, 글씨 쓰는 속도가 느린 탓보다 졸음에 자주 붙들리는 게 문제인 듯했다. 한 두어 줄 계속 쓰는가 싶으면 어느새 또 꾸벅꾸벅. 기면증이든가, 어쩌면 그런 병 때문인지도 모르는데 나는 그냥 웃고 말았다. 참, 대책없는 할아버지로군 하고.

그러고보니 할아버지는 도서관의 진정한 장기출근자였다. 도대체 몇 시에 출근을 하는지, 내가 좀 부지런을 떤 날도 할아버지는 어김없이 와 있었다. 그리고 예의 정기간행물실에 앉아 성경 옮겨적기를 저녁 6시 무렵까지 계속했다. 그렇게 매일 오가면서도 아무와도 인사를 나누거나 아는 척을 하는 법은 없었다. 그래도 사서들은 장기출근자로서 할아버지를 대우하는 것 같았다. 원래 간행물실에는 다른 책을 갖고 들어갈 수 없는데도 성경책 반입을 허용하는 것이 그 하나였다. 할아버지의 일과는 빈틈이 없었다. 아침 일찍 도서관에 나와 성경책을 베끼고 점심 때면 지하 식당에서 도시락을 먹거나 라면을 사 먹고 다시 지정석으로 올라가 졸며 쓰며 했다. 

그러던 어느날이었다. 점심을 먹으러 식당에 내려가니 할아버지가 있었다. 식사를 막 끝낸 할아버지는, 빈 도시락그릇을 벌여둔 채 가만히 앉아 있었다. 나는 주문한 우동이 나오기를 기다렸다. 그때였다. 갑자기 우렁찬 목소리로 할아버지가 찬송가를 부르기 시작했다. 행진곡풍의 찬송가였다. 식당 안의 모든 사람이 할아버지를 쳐다보았지만 할아버지는 고개를 꼿꼿이 세운 채 씩씩하게 끝까지 노래를 불렀다. 꽤 긴 노래였다. 이윽고 노래가 끝났다. 할아버지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도시락그릇을 챙겨 자리를 떴다. 그일이 있은 지 몇 년이 지났지만 다시 그런 일을 본 적은 없다. 그날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누구와 인사 한 번 나눈 적 없는 조용한 할아버지가 왜 갑자기 지하식당에서 노래를 불렀던 걸까? 혹시 그 어름에 사랑하던 사람을 잃었던 걸까? 그이를 위해서 눈물 대신 노래를 바쳤던 것은 아닐까... 속절없지만 나는 그런 생각을 해보곤 했다. 할아버지를 볼 때마다 그 상상이 맞는지 묻고 싶어하면서. 벌써 여러 날째 할아버지가 보이지 않으니 문득 그날이 떠오른다. 이러다 할아버지마저 그저 내 상상이 돼버리는 건 아닌지, 모든 게 다 속절없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