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사슬에서 풀리다 - 해방기 책의 문화사
이중연 지음 / 혜안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중연은 내가 늘 챙겨 보는 저자다. 읽은 책은 단 한 권, <책의 운명>. 두껍고, 요즘 내용보다 편집보다 중요해지는 디자인과는 담을 쌓은 참 무지막지한 책인데, 이 책을 읽고 오랫만에 배가 부른 느낌이었다. 그래서 그의 다음 저작을 기다렸다. 그런데 고백하자면, 얼마전 나온 신간을 찾다가 우연히 이 책을 발견하기 전까지 나는 이 책이 나온 걸 오래도록 몰랐다. 교재를 주로 내는 출판사에서 나온 까닭에 광고가 전혀 안 된 탓도 있지만, 내 게으름 탓이 더 크다. 어쨌거나 늦게나마 알았으니 읽자, 하고 도서관에 신청을 했다. 이런 책은 반드시 도서관에 구비되어 마땅하니까.

<책, 사슬에서 풀리다>는 책으로 보는 해방 직후의 문화사다. 과문한 탓인지, 이런 주제를 갖고 작업한 예를 아직 보지 못했다. 책의 전반부는 자료적 가치는 있으나 재미는 적다. 그래도 잊혀진 출판인 배종국에 관한 짧은 평전은 단숨에 읽힌다. 뭣보다 시인과 소설가 등 작가는 기억해도 그걸 출판한 출판인은 문화인의 궤적에서 완전히 지워지는 우리의 풍토를 꼬집으며, 성실과 애정으로 그들의 흔적을 살려내려는 저자의 마음이 기껍다. 또 하나 주목할 만한 건, 가상인터뷰 형식으로 쓴 책 이야기. 특히 국립도서관 사서와의 가상대담은 형식도 내용도 새로웠다. 남북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고 철저한 자료에 입각해 해방직후 금서의 문화사를 써내려간 점은 설득력이 있다. 금서는 무엇보다 권력의 문제라는 저자의 말이 기억에 남는다. 그리고 그 권력의 행사방식은 또한 얼마나 다양한가. 미군정이 금서 라는 통제를 유보한 반면, 진보의 이데올로기로 출발했던 북한 사회주의 정권이 이미 해방직후에 금서와 분서(일본책의 대량수거, 말살)를 시행함으로써 스스로를 배반했다는 사실은 해방직후를 보던 내 자신의 낡은 관념을 다시 생각케한다. 결국 문제는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그것에 담긴 염원일 것이며, 그것을 행동하는 사람과 삶일 것이다. 그러니 적국인 일본책이기에 폐기한다는 단순함이 순진함으로 포장될 수 없는 폭력이 되는 것이겠고.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책을 주제로 꾸준히 저술활동을 계속하는 저자가 그 마음을 잃지 않도록, 최소한의 지원은 부디 이루어지기를. 그만한 문화적 풍요와 배치는 이루어지고 있기를, 안간힘으로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