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공감 - 김형경 심리 치유 에세이
김형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한겨레신문에 연재될 때 간간히 읽었는데 사실 그때는 큰 공감을 못 느꼈다. 그런데 책으로 나온 걸 처음부터 끝까지 찬찬히 읽으니 수긍이 가기도 하고 내 자신을 비춰보게도 되었다.

저자의 말대로 읽다보면 왠지 거북하고 이물감이 느껴지는 대목들이 있었는데, 마음을 순하게 갖고 이 부분이 어쩌면 내 안의 억압인지도 모른다고 받아들이려 애썼다. 사실 이런 책들은 비판적으로 읽으면 별 도움이 안 된다. 이 책에서 확실한 해답을 얻을 수도 없다. 책 한 권이 어떻게 마음의 혼란을 가라앉히고 문제해결의 방안을 제시해줄 수 있으랴. 다만, 애써가는 과정 중의 하나일 뿐이다. 한 가지, 저자가 계속 강조하는 자기분석의 중요성은 크게 공감한 부분이다. 자기분석의 어려움을 새삼 깨닫고 있던 참이라 더욱 그랬다. 자기분석과 원망 해소의 한 방법으로 편지쓰기는 실제적 도움도 될 듯했다.

다만,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를 핵으로 한 프로이트의 가족 로망스구조가 너무 부각되어서, 자칫 가족과 부모로 과도하게 경도되는 잘못을 범하게 되는 건 아닌지 우려되었다. 이 책을 읽고 몇 사람과 토론했을 때도 그런 점이 많이 지적되었다. 가족과 부모의 역할이 강조되는 건 환경의 주요 요소로서이지 헤어날 수 없는 늪과도 같은 관계는 아닐진대, 프로이트의 부-모-자로 구성된 삼각형 애증은 너무 결정적으로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도 그런 점이 보여서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