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중위의 여자 Mr. Know 세계문학 11
존 파울즈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린책들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번역가 김석희 선생에게 그간 번역한 책 중 최고의 작품을 꼽으라면? 하고 물었더니 선뜻 [프랑스 중위의 여자]를 꼽았다. 그래서 그 두께에 상당한 부담감을 느끼면서도 읽기 시작했다.

뜻밖에 잘 읽힌다. 19세기 소설 작법을 그대로 따라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쓰여 읽기에 부담이 없는데다, 이야기도 그 무렵의 소설들에서 익히 보던 것이다. 몰락해가는 귀족 청년과 스캔들의 주인공인 베일 속 아가씨,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아름다운 부르주아 약혼녀, 심술궂은 노파, 자유주의자 의사 등등. 읽다보면 제인 오스틴과 발자크와 호손의 소설들이 두서없이 떠오른다. 하지만 이 소설은 지극히 현대적이다.

중간중간 뻔뻔하게 모습을 드러내는 작가. 그 천연덕스런 음성과 문학 강의를 듣고 있으면 웃음이 난다. 존 파울즈의 이 책을 읽고 내처 [만티사]를 읽고 있는데, 아무튼 이 작가의 뻔뻔함과 위트는 인정해줄 만하다.

이 소설에서 가장 놀라운 것은,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풍경과 심리를 해부하다시피한 섬세하고 신랄한 묘사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최고의 역사소설로 꼽고 싶다. 아니, 역사소설의 한 전범으로. 역사소설이란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한 소설이 아님을 놀랄 만큼 잘 보여준다. 하지만 여기 등장하는 인물들로 보자면, 주인공 찰스의 심리와 성격은 설득력도 있고 살아있는 데 비해 사라와 어니스티나는 애매하고 비어 있다. 사라의 욕망은 설득력이 없고, 그녀의 이기주의는 추하다. 어니스티나는 새로운 인물로 탄생할 가능성을 갖고 있음에도 여전히 전형적이다. 파울즈가 전형성을 의도했다고 봐준데도, 찰스의 전형성이 그 자체로 그 시대에 대한 풍자와 이해로서 설득력이 갖는 것과 달리 두 여자는 그렇지 못하다. [만티사]에서도 그렇지만, 존 파울즈는 여성에 대해선 한계를 드러낸다. 하긴 그 한계가 어찌 파울즈만의 것이랴! 남성 작가와 비평가들의 태반이 행복하게 공유하고 있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