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로 태어나서>는 전부터 벼르다가 이제야 읽기 시작했다. 머리말을 읽을 때는 솔직히 그만 덮고 싶었다. 문장의 과잉의 눈에 거슬려서. 하지만 본론으로 들어가자 불만은 완전히 사라졌고 계속 감탄하고 감동하게 된다. 저자에게. 성실하고 깊고 다스하고 정직하다. 한국에서 정말 보기 드문 논픽션인데, 희소성을 넘어 탁월한 성취를 이뤘다. 

 


 

 

 

 

 

 

 

 

 

 

<악녀의 재구성>은 도서관 서가에서 우연히 발견한 책. 별 기대없이 읽기 시작했는데 정말 재미있고 새롭다. 

조선시대에 이런 여성들이 있었나, 계속 놀라면서 읽게 된다. 


 

조지 월드, <우리는 어디에서 어디로 가는가Therefore choose life>를 읽다. 처음엔 별로 다가오지 않았다. 그래서 앞을 건너뛰어 4장 '죽음의 기원'을 읽다가 매료되었다. 그렇게 3장을 읽고 다시 앞 장을 읽는 역순의 독서를 하다. 기억해두고 싶은 문장이 많아 메모하다.

 

 

 

 

 

 

 

 

 

 

 

 

요즘 읽은 책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신복룡의 <인물로 보는 해방정국의 풍경>이다. 조선일보에 연재했던 글을 묶었는데, 단편들이고 개인적인 소회도 뒤섞여 본격 역사서라고는 하기 힘들지 모르나 이 시대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책이다. 좌우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저자의 입장 때문에 더욱 논란이 되는 사건들에 접근하는 데 좋다. 독서회에도 권했지만 입문서로 손색이 없다. 4.3과 대구항쟁, 여순사건, 한국전쟁 등에 대한 내용을 읽으며 가슴이 터질 것 같았다. 끔찍한 보복, 특히 우익의 잔인함을 보며 어디서 왜 이런 증오가 나왔는지 묻게 된다. 왜 이렇게까지 증오하는 걸까? 그리고 미국. 5.18에 대한 증언을 보면서도 그렇고 미국은 참 오랜 문제다.   

 

 

 

 


김승섭의 <우리 몸이 세계라면>을 읽다. 화제작 <아픔이 길이 되려면>도 그렇고 이 책도 고개를 끄덕이면서 읽지만 아쉬움은 있다. 여러 주제를 짧게 다루다 보니 깊이있게 고민이 전개되는 데 한계가 있다. 캐나다의 보건과학자 캐런 매싱이 쓴 <보이지 않는 고통>이 떠오르며 다음엔 좀더 깊게 문제의식을 펼쳐나갔으면 싶다.

 

 

 

정민의 <나는 나다>는 실망스러웠다. 다작에도 불구하고 읽는 책마다 만족스러웠던 정민 교수라 이번에도 기대했는데 실망. 같이 나온 <채수유병집>도 그리...

 


 

 

 

 

 

 

카를로 로벨리의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는 요즘 만나는 사람들에게마다 추천하는 책. 그 책이 계기가 되어 읽게 된 <1417년 근대의 탄생> 역시 기대에 값하는 근사한 저작이었다.

교황의 비서였던 필경사 포조가 루크레티우스의 시집을 발견하고 그것이 몽테뉴를 비롯한 근대의 여러 사상에 영향을 미친 이야기를 그야말로 영화처럼 흥미진진하게 썼다. 인문서를 읽는 게 얼마나 즐겁고 도움이 되는지 모처럼 실감하다.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도서관 사서 실무>는 제목 그대로 사서 실무가 궁금해서 읽었다. 아주 얇은 독립출판물인데 재미있게 단숨에 읽었지만 아쉬움이 많다. 일단 제목과 달리 사서 실무에 대해 자세히 알기 어렵다. 글을 쓰고 싶어하고 그래서 직접 책을 만드는 개인적인 얘기와 사서 경험이 뒤섞인 일기 같은 글이다. 일반 출판사라면 아마 이대로 출간하지는 않았으리라. 편집이 안 된 책인데, 과연 이런 출판이 괜찮은가 의문이 든다. 작가로서 편집자의 의견을 듣고 조율하는 과정은 정말 힘들다. 글을 쓰는 즐거움은 없고, 남의 말을 들어야 하고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을 설득해야 하는 괴로움만 가득한 과정이다. 하지만 이 과정을 통해 글 쓰기도 배우고 사는 법도 배우고, 무엇보다 내 자신의 부족함을 배우게 된다. 내가 좋아서 쓴 글, 내가 좋아서 내는 데 무슨 상관이냐 할 수도 있지만 책과 출판엔 나만 좋은 것 이상의 책임도 있으니까 역시 편집의 역할을 생각하게 된다.   


 

<신체설계자>- 상상을 넘어선 현대 의료기술의 세계. 그 미래를 도무지 가늠할 수 없다. 꽤 전문적인 설명도 있어 독서가 더뎠으나 기억해두고 싶은 내용이 많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