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나일 때 가장 빛난다 - 인생에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한홍구 외 지음 / 철수와영희 / 2012년 9월
절판


대학이 기나긴 인생에서 중요한 한 부분일지는 몰라도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그러니 일단 결과를 받아들이세요. 그리고 새 게임을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가질 수 없는 것을 갖기 위해 발버둥 치기보다 자신의 현실적인 위치를 인지하고, 거기서 다시 어떤 길을 갈지 모색하는 것이 더 현명합니다. - 한홍구-12-13쪽

정말로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하고자 한다면 그에 대한 비용을 스스로 지불해야 합니다. - 한홍구-23쪽

사람들이 괴로운 이유는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도 재벌 2세처럼 살고 싶기 때문입니다. 세상 살면서 정말 필요한 건 돈이 아니라 자기가 하고 싶은 것, 옳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는 믿음이 필요해요. - 한홍구-24쪽

자신의 위치를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규정하지 마세요. 무의미한 평가 기준입니다. 이 체제가 요구하는 기준이기 때문이에요. 그것은 철칙이 될 수 없어요. 가장 중요한 건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고, 그에 따라 살아가는 것입니다. - 홍세화-41쪽

인문 사회과학에 관한 한 공부를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 사이에는 딱 한 가지의 차이만 존재합니다. 시험을 본 다음에 잊어버리거나 시험을 보기 전에 잊어버리거나. 그게 무슨 능력입니까? 그건 기존 체제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능력, 그야말로 지배체제에 잘 적응하는 능력일 뿐이에요. 물론 이 능력을 통해 사회귀족이 될 수는 있겠지만 말이죠. - 홍세화-47쪽

여러분이 불안해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바로 몸이 놓이는 자리입니다. 몸이 존엄하기 때문에 몸이 놓이는 자리가 존엄하지 않을까 봐 불안해하는 거죠. 그런데 이런 불안은 실제로 해체해보면 그다지 크지 않습니다. 그냥 막연하게 불안한 것일 뿐이에요. 구체적인 내용이 없어요. 사람의 삶이란 자기 몸이 처지에 의해 '놓이는' 자리와 스스로의 가치관에 의해 '놓는' 자리의 궤적입니다. 그 궤적이 곧 각자의 삶이죠. - 홍세화-55쪽

냉소에 의한 투표 거부도 존중되어야 합니다. 정치에 대해 냉소하게 된 것은 그 사람의 책임이 아니기 때문이죠. 어떤 이가 정치가 자신의 삶을 반영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이제껏 투표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투표를 한 후 자신의 삶에 어떤 영향이 있었다면 그 사람은 정치에 냉소하지 않을 거에요. 그렇다면 지금의 20대는 왜 정치에 냉소하게 되었을까요? 투표를 해도 대다수 사람들의 삶이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았던 겁니다. 그런 정치가 지속되다 보니 냉소가 확산되고, 젊은이들도 그 영향을 받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냉소에 의한 투표 거부도 정당한 정치의식이라고 보는 겁니다. 정치인들은 대중들에게 정치와 자신의 삶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 줄 책임이 있습니다. 책임을 다하지 못한 걸 미안해하고 부끄러워해야 할 사람들이 '20대는 정치에 관심이 없다.'며 비판하는 것은 곤란하죠. - 김규항-67쪽

미국은 대통령까지 기부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사회입니다. 부시 대통령은 부자의 기부를 장려하기 위해 법까지 고쳤어요. 표면적으로 보면 가난한 이들을 위한 것 같지만 사실을 부자들을 위한 것입니다. 기부를 함으로써 '우리 사회는 아직도 살 만한 사회구나. 온정이 오가는 사회구나. 인간성이 살아 있는 사회구나.'라는 인식을 대중들에게 심어 주는 거에요. 이를 통해 복지사회로의 변화를 막는 겁니다. 미국이 복지사회로 변화하면 부자들은 기부하는 금액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세금으로 내야 하기 때문이죠. - 김규항-70쪽

"왜 우리가 정치적 행동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정치적 행동을 하지 않아도 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김규항-75쪽

미국은 진보 정치가 완전히 죽은 사회입니다. 미국에서 급진적 노동운동이나 진보 정치가 죽어 간 원인은 간단해요. 비판적 지지, 그리고 선거 연합입니다. 쉽게 말하면 진짜 진보들이 민주당으로 흡수된 것이죠. 일단 공화당을 막고 진보적 의제를 실천한다, 민주당을 진보적으로 견인한다는 말이 난무했지만, 결과적으로 보자면 그냥 진보의 자원과 가능성이 민주당으로 흡수되어 버린 거에요. - 김규항-84쪽

구조가 잘못된 것은 사실이지만 구조를 탓하지 마세요. 그것을 받아들이고 말고는 자신이 결정한 일입니다. 구조가 잘못됐으니 난 아무것도 못한다는 사람들은 정말 아무것도 못할 거에요. 이것은 정치의 문제가 아닙니다. 주어는 '나'예요. 최소한 그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하지 않겠어요? 그걸 알고서도 구조에 편입하는 것을 선택했다면 구조 탓을 해선 안 됩니다. 길이 보이기 때문에 산에 올라가는가, 보이지 않아도 오르는가는 개인의 선택이에요. - 강신주-103쪽

종교학의 창시자인 막스 뮐러라는 사람이 있어요. 이 사람이 '하나의 종교만 아는 사람은 아무 종교도 모른다.'라는 말을 했습니다. 자기 종교를 알려고 하더라도 다른 종교를 알아야 한다는 뜻이죠. 자신의 종교만 아는데 자신이 믿는 종교가 좋은지 나쁜지 어떻게 알겠어요? 좋고 나쁘다는 것은 다른 것과의 관계 속에서 아는 것입니다. 관계가 없이 자기 혼자서 좋다, 나쁘다고 말하는 것은 비상식의 세계에서나 통하는 얘기에요. - 오강남-179쪽

대신 제대로서의 종교, 인습적이고 관습적으로 따르는 종교는 별 의미가 없어졌어요. 미국이나 캐나다에서는 젊은 사람들이 이렇게 말합니다. "I'm not religious; I'm spiritural." 자신은 종교적인 사람이 아니라 영적인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그들에게 믿는 것과 교회를 가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에요. - 오강남-180쪽

그러나 성경을 자세히 정독하면 내세를 그렇게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 겁니다. 내세부다는 현세가 중요해요. 성경에서는 삶과 죽음 자체를 넘어서는 경지로 들어가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삶과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하고요. 이것이 종교가 우리에게 주는 해방감이고 자유입니다. 내세 때문에 벌벌 떨고, 내세 때문에 현재의 삶이 한정된다면 그것은 종교가 줄 수 있는 특권을 누리는 것이 아니에요. 종교의 기본적 목적이 아닙니다.
지금 죽어도 문제가 없는 그런 경지에 이르러야 올바르게 믿었다고 할 수 있어요. 이런 의미에서 종교는 죽음을 준비시키는 것이죠. 류영모 선생님이 하신 말씀 중 '종교는 결국 죽음을 준비시키도록 하는 것'이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공자도 말씀하시지 않았습니까? 제자들이 내세가 어떠냐고 질문을 하니, '현세도 모르는데 죽은 다음까지 어떻게 알겠느냐.'고 대답하셨지요. 죽음 이후의 세계를 누가 가 봤겠습니까? 우리가 어떻게 알겠어요? 그러니 현실이 더 중요합니다. 현실을 자유럽게 사는 것에 대해 고민하세요. 즉, 내세라는 것을 상징적 은유적으로 이해할 줄 알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 오강남-185-18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