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분 인생 - 진짜 나답게 살기 위한 우석훈의 액션大로망
우석훈 지음 / 상상너머 / 2012년 2월
품절


누구를 만나는가, 누구와 우정을 나누는가, 그런 게 어느 순간부터는 자신의 생각과 삶 그리고 영혼의 무게를 결정한다. 그건 진짜 맞는 말이다. 대체적으로 마흔쯤에 사람은 누구와 생의 후반부를 같이 지낼 것인가, 한 번은 그런 것을 결정하게 된다.-26쪽

두 가지의 길이 있을 때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더 낮은 곳, 더 낯선 곳, 그걸 선택할 수 있는 마지막 나이가 마흔쯤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때에도 위로 올라가려 하고, 더 신분을 높이려 하고, 더 동질적인 끼리끼리의 삶을 추구한다면, 결국에는 한나라당에 투표하는 사람이 되지 않을까 싶다.
지금 한국의 주류 사회는 사람들에게 '더 높은 곳으로, 좁게 그리고 끼리끼리', 그렇게 지내라고 한다. 그게 명박 세대의 사람들이 우리에게 펼쳐 보여준 삶을 살아가는 방식이다.-27쪽

프랭크 허버트의 기념비적인 SF소설 <듄Dune>에서는 악마에 대한 정의를 이렇게 내린다. "악마란 자신의 기억 안에 있는 어떤 특정한 존재가 자신을 완전히 지배하는 것." 좋은 사람이건 나쁜 사람이건, 무엇인가 혹은 어떤 사상이 자신을 100퍼센트 설명할 수 있게 되면, 그게 바로 악마라는 얘기다.
인간이 어른이 된다는 것은, '나는 누구인가?', 그 질문을 시작하면서 더욱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존재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때때로 사악하고, 때때로 고결하고, 때때로 순진하며, 대체적으로는 생각을 귀찮아하는 존재가 아니던가. 아무리 나쁜 사람이라도 24시간 내내 악마의 속성만을 가지고 있지는 못한다. 아무리 좋은 사람이라도 24시간 내내 순수함만 가지고 있지도 못한다. 그러나 어느 한 극단에 사로잡히면 악마가 되거나 미치거나, 그러다 보면 주위 사람들이 너무너무 피곤해해서 같이 있는 걸 꺼려할 것이고, 결국 그는 외롭게 고립된다. 삶이 원래 그런 것이다.-32-33쪽

조선시대의 선비들이나 했던 생각을 내가 하는 건지도 모르겠지만, 난 우리 사회가 막스 베버의 '직업으로서의 학문'처럼 학문 자체가 너무 직업이 되어버린 경향이 좀 안타깝기도 하다. 자본주의 사회니까 뭔가 배웠으면 그걸로 돈을 버는 게 당연하다, 이렇게들 생각하는 것 같다. 하긴 돈을 중심으로 생각하면, 학자들만큼 다루기 편해지는 집단도 없다. 길들이기 참 편한 집단이다. -116-117쪽

어쩌면 학자에게 가난은 실체가 아니라, 가난으로부터 생겨나는 초조함이 그 실체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종종 들기도 한다.-148쪽

지금 즐겁지 못한 삶이 언젠가 즐거울 수 있을까?
이 얘기가 내가 10대들에게 정말 해주고 싶은 얘기다. 지금 즐거운 사람이 나중에 즐겁게 공부할 수 있고, 또 즐거운 일들로 자신의 삶을 채울 수 있을 것 같다.-237쪽

앞으로 사람들과는 스승과 제자, 선배와 후배, 이런 관계로 만나지 않고 그 누구를 막론하고 파트너라는 수평적 상태로 만나려고 한다. 내가 누구에게도 머리 숙이고 싶지 않은 것처럼, 누구도 내 앞에서 머리 숙여야 하는 상황을 절대로 만들고 싶지 않다. -249-250쪽

하여간 자기계발서는 읽을 때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정신적 일탈과 같은 것에 불과하다.-315쪽

이청준 선생이 말하지 않았던가. "살아서 동상을 세우지 말라." 가끔은 굶더라도 대체로 입에 세 끼 밥이 들어오고, 남들한테 갚지 못할 빚을 남기지 않고 가는 삶, 그런 거면 충분치 않을까 싶다. 때때로 작은 소망이 생기는 거야 사람이니까 어쩔 수 없지만, 간절히 원하는 것을 만들지 않는 삶, 그런 삶을 40대가 되면서 배운 것 같다. -318쪽

1950년대에 전쟁이 끝나고 경기고 등 좋은 엘리트 고등학교를 나온 할아버지들이 꼭 하는 말이 있다. 당시에 자신은 집이 가난해서, 고등학교 때는 이미 과외를 하면서 자수성가했다... 그런 분들에게 난 꼭 이렇게 얘기한다.
"그런데 왜 지금의 고등학생은 그렇게 할 수 없는 세상을 만드셨어요?"-325쪽

한국의 보수들이 정신세계 구축에 실패한 것은 그들이 북한에 대한 증오 위에 그들의 정신을 세우려 했기 때문이다. 그게 바로 레드콤플렉스 아닌가? 증오 위에 한국을 세우려 했지만 그건 영원히 지속될 순 없는 시스템이다. 돈과 권력, 이런 걸 보수들이 전부 쥐고 있고 지금은 대학까지 확실하게 틀어쥐고 있지만 그래도 두 번이나 정권을 빼앗겼다. 증오는 힘을 주지만, 지속성을 주지는 못한다.-34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