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의 몸값 1 오늘의 일본문학 8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전작 <공중그네>, <인더풀>의 강한 이미지로 인하여 흔히들 오쿠다 히데오를 단지 유머러스하거나 가벼운 소설을 쓰는 작가로 인식하고 있을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의 전작 <남쪽으로 튀어>를 성실하게 읽은 독자라고 한다면, 아니 <공중그네> 등에서 등장하고 있는 인물들 또한 이 사회가 요구하는 일정한 범주에 편입하지 못하거나, 일반적 시선에서 소외당하거나, 정상적인(?) 삶의 방식에 부적응하고 있는 사람들 임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면, 그의 이번 작품인 <올림픽의 몸값>에서는 기존에 그가 보여주었던 '비틀림의 해학'이 강조되지 않는다는 것에 그다지 큰 실망을 하지 않은 채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개발, 발전, 실용, 편리, 윤택이라는 문구들이 우리 일상의 큰 주제가 되어버린 시점에서 1964년 일본의 이야기를, 그것도 성공리에 개최되었다고 평가받는 도쿄올림픽의 이야기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본다는 것이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그리고 왜 하필 '올림픽'일까. 경제성장과 국가발전의 위용을 과시하기 위해, 자신들의 건재함을 증명이라도 해보이려는 듯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올림픽, 월드컵이라는 스포츠 전쟁의 유치 또한 자본과 성장이라는 괴물들이 만들어내고 변질시키고 있는 또 하나의 부작용이란 말일까.

작가는 지금 일본이 갖고 있는 부조리의 가장 대표적인 사건이자 시발점으로 도쿄올림픽을 설정했던 것 같다. 전 세계를 상대로 한 무모한 전쟁에서 처참하게 패망했던 일본, 그 폐허를 복구한 것이 불과 19년 이라는 기적같은 짧은 시간이었으며, 그것을 전 세계에 과시라도 하듯 올림픽을 준비함으로써 세계에 자신들의 입지를 다시 한번 확인시키려 했던 일본. 그렇기 때문에 1964년의 도쿄올림픽은 전후 일본사회를 가름짓는 하나의 거대한 분기점이 된다.

그렇지만 외부로 보여지는 위용은 충분히 내재되지 않은 허울일 뿐임을, 그 껍데기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많은 이들이 겪게 되는 부당함, 비인간이고 불평등한 처우에는 누구 하나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았음을, 그리고 현재의 우리는 과거의 모든 것들을 잊은 채 헐떡거리며 살아가고 있음을, 작가는 지적하고 싶었는지 모른다.

올림픽이라는 국가적 행사를 명목으로 하층민들의 희생은 당연히 여기는 국가권력과 비참한 생활과 비인격적 대우를 당하면서도 저항할 방법을 알지 못하는 하층민들의 모습으로부터 고뇌하는 룸펜 프롤레탈리아 시마자키 구니오의 모습에서 우리의 젊은 시절들을 본다. 부당한 국가권력에 맞서고자했던 지식인의 고뇌, 예정되어 있는 레드카펫이 아닌 울퉁불퉁한 자갈길을 선택한 선량한 양심, 그리고 국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테러리즘이라는 강력한 카드를 꺼내 든 강한 의지. 젊음이란 모름지기 그럴 수 있고, 그래야 하는 것 아닐까.

밥벌이 이상의 돈벌이를 위해 나 스스로를 더 삭막하게 내던지고 있는 현실 앞에서, 소비의 달콤함에 빠져들어 자각 없는 소시민적 삶을 살고 있는 내게, 이 소설은 부르주아는 더더욱 싫었지만 룸펜 프롤레타리아가 되기 싫다고 되뇌였던 내 풋내기 대학시절을 떠올리게 하였다. 불안한 결말을 예상하면서도 눈을 떼지 않고 책장을 넘기며 나는 어느새 이 연약한 도쿄대생을 응원하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