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이네 집 - 작지만 넉넉한 한옥에서 살림하는 이야기
조수정 지음 / 앨리스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인가 "어디 사세요?"라는 질문에, '래미안', '자이', '롯데캐슬'이라는 이름을 대는 것이 자연스러워진 우리는 어쩌면 자신도 인식하지 못한 사이에 '집'이라는 개념을 큰 건설회사에 내어 주며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제는 그 회사의 브랜드 네임이 우리 집의 가치와 내 자산의 건실함을 입증해주는 또 하나의 지표가 되어버렸고, 우리는 어느새 그것을 자랑스러워하며 살게 되었다.
 

 예전 (지금도 간혹 그렇지만) 대문 앞에는 문패가 있었다. '아무개'라고 적어 놓은 반듯한 이름은 이 집의 주인은 누구인지, 누가 살고 있는지를 말해주는 또 다른 표시의 하나였다. 그 대문 틈 사이로 살짝 보이는 마당의 풍경은 집 주인의 삶의 방식이 어떠한지, 어떤 풍류를 즐기는 사람인지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장이었다. 즉, 집은 그 사람의 삶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단면인 셈이었다. 그렇다면 결국 집은 우리네 삶을 닮아가는 것이 아닌가?

 

 도심지 한 가운데에 높이 솟은 아파트, 부촌이라 일컬어지는 곳에 위치한 넓은 평수의 단독주택, 풍경이 좋은 언덕 위에 위치한 유럽식 전원주택 등 거대자본은 끊임없이 우리의 삶을 현혹시킨다. 마치 우리가 그곳에 살아아만 사회적, 인격적으로 품위 있는 삶을 살 수 있는 것 처럼 말이다. 이는 집이 우리네 삶을 닮아간다는 것과는 정반대의 방식으로 우리가 한평생 집을 쫓고 있는 셈이다.

 

 일곱살 박이 어린 아이와 고양이들과 함께 한옥으로 이사한 젊은 부부. 그들이 한옥으로 이사를 한 것은 많은 돈이 있어서도 아니고, 넓은 집에 살고 싶어서도 아니었다. 낡은 집을 손수 수리하거나 집에 어울리는 작은 소품들을 배치하는 기쁨, 좁은 한옥에 살기 위해 그동안 불필요하게 지니고 있었던 물건들을 하나 둘씩 비워내면서 느끼게 되는 아름다움을 기꺼이 자신들의 삶으로 받아들이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막연한 전원생활과 상품화된 녹색의 삶을 추종할 것이 아니라, 이들처럼 자신의 삶의 지향점을 두고 현재의 삶 속에서 그것을 닮아가는 터전을 서둘지 않고 천천히 만들어 간다는 생각이 우리에게 더 필요한 본질적인 요소는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