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우주를 지배하는 만유인력의 법칙은 말 그대로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고 말한다. 보잘것없는 나도 우주의 일부분으로 우주의 법칙에 지배당한다.
무엇을 끌어당길지는 전적으로 내가 선택하는 것이다. - P19

애보트의 말대로 불가능은 없다. 아니, 정확하게는 불가능이 없다고 믿는 사람에게 불가능은 없다. - P23

자신의 모습과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믿음을 가져라. 그것이 현실과 부합하든, 착각에 불과하는 중요한 건 긍정적인 믿음을 갖는 것이다. - P25

"그 말을 듣는 순간 내가 지금까지 잘못 살았다는 걸 알았죠.
그 전에는 노력해본 적이 없었다는 사실을 깨달았어요. 젊을 때 고생은 했지만 노력은 하지 않았던 거예요. 나름대로 열심히 살았다고 생각했는데, 그 정도는 열심히 사는 게 아니었어요." - P27

헨리 포드의 말처럼 당신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든, 할 수 없다고 생각하든 당신 생각이 옳다. 미래는 당신의 생각대로 될 테니까. - P28

이미 발생한 과거는 그 누구도 바꿀 수 없다. 하지만 현재와 앞으로 다가올 미래는 누구든지 바꿀 수 있다. 나에게 닥친 일에 대한 불평과 원망 대신 현재에 충실하고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누구에게나 좌절의 순간은 찾아온다. 각자에게 주어지는 그 고통의 무게를 타인이 가늠할 순 없다. 다만, 스스로를 비관하지 않고 이를 악물고 나아가다 보면 때론 그 시련이 내가 전혀 예상치 못한 삶의 방향으로 나를 이끄는 전환점이 되기도 한다. - P34

스티브 잡스는 스탠퍼드대학교 졸업식 연설에서 행운과 불운이 뒤섞여 있는 삶의 순간순간(Dots)이 어떻게 기묘하게 이어지는지를 ‘점의 연결(Connecting the dots)‘로 설명한 바 있다.

우리는 미래를 내다보며 점을 이을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오직 과거를 돌이켜 보며 점을 이을 수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여러분들은 지금의 순간들이 미래의 어떤 시점에 서로 연결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스티브 잡스 - P38

"나는 노력한만큼 보상을 받은 운이 좋은 케이스가 맞다. 하지만 그 운을 잡으려면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장갑 끼고, 헬멧 쓰고 감독 옆에 앉아 있었다. 기회는 1년 뒤, 어쩌면 10년 뒤에 올 수도 있지만 어쩌면 내일 올 수도 있다. 기회가 눈에 띄게 올 수도 있고, 몰래 올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그 기회를 잡으려면 준비가 돼 있어야 하고, 나는 그 준비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 P44

작가 루이스 헤이가 말한 ‘미러 워크(Mirror work)‘를 활용하면 더욱 좋다. 방법은 간단하다. 거울 속 내 눈을 바라보고 심호흡을 한 뒤 이렇게 되뇌는 것이다.
‘된다, 된다. 나는 된다‘
‘나는 될 것이다‘가 아니라 ‘나는 된다‘다. 미래에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는 게 아니라 ‘무조건 나는 된다‘라고 외치자. 하루에 스무 번도 넘게 외쳐보라 ‘된다. 된다. 나는 된다‘고 끊임없이 되다 보면 어느새 자신감으로 가득 찬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P49

작가 짐 콜린스는 스톡데일의 이야기에서 ‘스톡데일 패러독스‘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앞으로 잘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믿음과 함께 비관적인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차가운 현실 인식을 동시에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플러스 사고를 하되, 눈앞에 닥친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할 필요가 있다. 막연한 희망은 차가운 현실에 부딪힐 때 더 큰 좌절만 가져다준다.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며 미래를 꿈꾸는 자가 현실을 극복해낸다. - P52

내 결론은 이렇다. 당신의 심장이 빨리 뛰는 대신 행동을 더 빨리하고, 그것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대신 무언가를 그냥 하라. 가난한 사람은 공통적인 한 가지 행동 때문에 실패한다. 그들의 인생은 기다리다가 끝이 난다. - P56

당신은 위 질문에 무엇이라 답하겠는가. 이스라엘의 현자, 랍비 힐렐은 "지금 하지 않으면 언제 할 날이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변화란 다른 사람이나 다른 때를 기다려서 오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기다리는 변화의 주인공은 바로 우리 자신이다. 변화는 바로 ‘내가‘ 만들어내는 것이고, 바로 ‘지금‘ 시작되어야 한다. - P63

인백기천(人百己千) 고시 준비를 할 때 내가 늘 읊조리던 말로, "다른 사람이 백 번 노력하면 나는 천 번 노력하겠다"라는 의미다. 이 말은사서삼경의 하나인 《중용》에서 유래했는데 원문에는 "남이 한 번에 되면 나는 백 번을 해보고, 남이 열 번에 되거든 나는 천 번을해본다"라고 되어 있다. - P65

미루기 극복 세미나의 인기 강사인 리타 엠멋은 그녀의 저서 《세상의 모든 굼벵이들에게》에서 이렇게 말한다.
"하거나 하지 않는 것만 존재할 뿐, 하려고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리타 엠멋에 따르면 실제 일하는 것보다 일하기를 두려워하느라 소비하는 시간과 에너지가 더 크다고 한다. 어떤 일을 두려워해 미룰수록 마감시한 훨씬 이전부터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고, 스트레스는 다시 그 일을 미루게 한다. 미룸의 악순환이다. - P74

일의 성패는 마지막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미 결정된다. 시험의 결과도 시험을 치른 뒤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공부의 과정에서 합격자와 불합격자는 이미 결정된다. 시험은 단지 그 결과를 확인하는 절차에 불과하다.
나는 일주일간 치러지는 고시시험 기간 동안에도 루틴대로 매일 새벽에 헬스장에서 달리기를 한 뒤에 시험을 보러 갔다. 정확히는 시험을 본다기보다 합격을 확인하러 갔다.  - P86

정신과 의사 하지현도 자신의 저서 《지금 독립하는 중입니다》에서 계획을 스마트(SMART)하게 잡으라고 말했다. 계획은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 가능하며(Measurable), 성취 가능하고(Achievable), 근거가 있으며 (Reasonable), 시간이 제한되어 (Time-limited)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P93

미국의 가수 겸 배우 바비 다린은 이런 말을 남겼다.
"당신이 인생을 한 번만 산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당신은 한번 죽을뿐이다. 당신은 여러 번의 인생을 살 수 있다. 만약 당신이 그 방법을알고 있다면."
지금의 인생을 만족하든, 불만족하는 내 삶은 오롯이 나의 것이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인생은 지금부터다. - P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