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세 사망법안, 가결
가키야 미우 지음, 김난주 옮김 / 왼쪽주머니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고령화와 청년실업, 인구절벽이 키워드가 되고 있는 요즘, 70세 이상은 살 수 없도록 한다는 법안이 가결되었다는 듯한 자극적인 제목이 눈에 확 띄었다. 노인들이 삶을 오래 연명하지 않으면 된다는 식으로 현실의 인구 문제의 원인과 해결을 단순화한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드는 한편, 이정도 제목을 당당히 드러낼 수 있는 작가의 용기가 대단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한번쯤 생각해보았음직도 하지만 차마 입밖으로 낼 수 없는 불손한 상상이다. 노인들의 투표권 제한을 운운한 정치인이 선거철마다 재소환된 기억으로 욕을 먹는 우리의 현실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70세 사망법안이 가결되었다. 이에 따라 이 나라 국적을 지닌 자는 누구나 70세가 되는 생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반드시 죽어야 한다. 예외는 왕족뿐이다. 더불어 정부는 안락사 방법을 몇 종류 준비할 방침이다. 대상자가 그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고 한다."로 책의 첫 장은 시작한다. 시작은 이렇게 거창하게 했으나 끝을 어떻게 마무리할 지가 자못 궁금했는데, 결국 이 법안이라는 것이 '현명한' 총리가 '우둔한' 국민들에게 보다 장기적인 정책방향에 지지를 어필하기 위한 설득의 장치로 활용한 것이었고, 애초부터 법안을 시행하기 위함이 아니라 국민들의 삶을 더 배려하기 위한 수단이었다는 작위적 설정에는 전혀 공감이 가지 않았다.


파격적인 제목에 비하여, 소설이 그리고 있는 상황은 지극히 현실적이다. 지병으로 누워 있는 시어머니와 그를 간호하는 며느리, 엄마의 삶과 분리되고 싶어 집을 나와 독립한 딸과 부모의 총애를 받은만큼 초라한 사회생활의 시작을 두려워해 히키코모리가 된 아들, 일과 자기 생활 외에는 무관심한 아빠, 어머니의 병 간호는 큰 집에 맡긴 채 재산에만 관심을 갖는 시누이들. 어찌보면 다분히 한국적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을 정도로 익숙한 설정이다. 이런 배경에서 2년 유예된 70세 사망법안의 시행 앞에서 이들 가족이 겪게 되는 여러 갈등들을 이 소설은 다루고 있다. 


작가가 소설에서 직간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사회문제들은 고령화를 비롯한 취업란, 대기업의 착취, 열악한 직업 환경 등 여러 가지이고, 이에 대응하여 '70세 사망법안'이라는 대안이 등장하였지만, 정작 갈등의 핵심을 그 법안이 아닌 주부(엄마)에게만 집중된 가사 노동에 부여하고 있다. 반부터 답답할 정도로 자신만의 삶도 없이 가정에 헌신하던 엄마가 가족 구성원들 각자의 이기심과 무관심으로 인하여 스스로가 점점 망가져 가는 것을 느껴 드디어 가출을 결행하게 되고, 이 가출이라는 사건을 중심으로 그동안 엄마가 고스란히 짊어지고 있었던 삶의 무게들이 하나 둘씩 가족 구성원에게 분배되고, 이들은 1/n에 지나지 않는 부담을 억지로 받아들인 채 우왕좌왕 혼란스러워하면서 가까스로 버텨내며 조금씩 변하게 된다는 주말 드라마에서 흔히 볼 법한 전개가 이어진다.


"나이를 먹으니까, 인생이 한 번뿐이란 걸 뼈에 사무치도록 알겠더구나. 나이를 먹는다는 것도 좋은 일이야. 많은 것이 눈에 보이니 말이다." - 278

"아빠, 그거 잘못된 생각이에요. 우리 세대는 죽을 때까지 일하지 않으면 먹고살기도 힘들다고. 그러니까 아빠도 죽을 때까지 일해요."
부엌에서 커피를 끓이는 아버지를 보고 이번에야말로 개과천선했나 보다고 여겼는데 아니었다.
사람이란 그렇게 쉽게 변하지 않는 듯하다. - 350

"회사원이란 것은 굴욕을 팔아서 돈을 버는 장사야. 아빠는 참고 참고 또 참는 인생을 살았다." - 375

"우리의 일은 앞으로가 시작입니다. 오래 사는 것이 행복이라고 진심으로 생각할 수 있는 사회를 반드시 실현해야 합니다." - 3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