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보고 있다'

서울에서 공부하고 있는 아들이 방학이 되어서 잠시 다니러 왔습니다.
방학이래야 느긋하게 쉴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ROTC 훈련이 연초에 있으니 곧 원위치로 가야합니다.
제 아버지가 중간이 다른 일을 하느라 초등학교를 네 곳, 중학교를 세 곳이나 거쳐서 졸업을 했지요,
그래서 고등학교는 아예 기숙학교에 보냈었습니다.

반공이데올로기가 철저하던 때에 학창시절을 보낸 분들이면 제 이야기를 공감하실 겁니다.
올림픽 같은데서 북한 선수들이 지면 걱정을 하곤 했습니다.
‘저 선수, 아오지 탄광에 가면 어쩌지?’
지금 생각하면 웃음이 나오지만 그때는 정말 심각했습니다.
이승복이라는 9살짜리 남자아이가 “공산당이 싫어요”라는 말을 남기며 죽음을 택한 사건이 교과서에도 실리고 또 영화로 만들어졌습니다.
단체로 문화교실을 가서는 온 극장 안이 눈물바다를 이루었고, 남학생들은 ‘나도 이승복처럼 용감해져야겠다’는 전의를 다지던 그런 시대를 살아왔습니다.
아들에게 이 이야기를 했더니 아들의 대답이 걸작이었습니다.
“엄마, 요즘엔 아오지 탄광에 갈래? 대한민국에서 고3 할래?”한다는군요.
그러면 다들 아오지 탄광행을 택한다는 거지요.
그만큼 우리나라 고3의 생활이 힘들다는 것이겠지요.  

남편과 가끔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옛날이 좋았다구요.
우리 시절에는 예비고사가 있었습니다.
그 예비고사에서 얼마를 떨어뜨리고 다시 본고사를 쳤었지요.
그리고 들어간 대학에서는 졸업만 하면 대부분 취업을 했습니다.
대학입시의 기회를 차단하는 것이라 의견이 분분하더니 예비고사가 폐지되고, 그 후에도 일 년이 멀다하고 입시 제도를 뜯어고치지만 별다른 대안이 없어보입니다.
무엇보다도 대학을 졸업하여도 제 밥벌이를 하기가 어렵다는데 우리 모두의 고민이 있습니다.
취업이 만만하지가 않으니 휴학을 하고 유학을 가거나, 졸업을 하고 별다른 계획이나 의식없이 대학원에 진학하여, 현장에 투입되지 못하는 고급인력만 양산하고 있는 실정이지요.
제 친구들은 거의 대학생 자녀를 둔 엄마들입니다.
그래서 만나면 가끔 푸념들을 합니다.
자녀 양육기간이 너무 길다구요.
대개 한둘인데도 그 자녀들의 뒷바라지에 허리가 휜다고 아우성들입니다.

사진은, 아들의 고3 시절 급훈입니다.
졸업식에 갔을 때 보고 참 아이들다운 발상이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교실 중앙에 이 급훈을 걸어놓고 밤 12시까지 공부를 했을 우리들의 아들딸들에게 안쓰러움을 느낍니다.
우리의 젊은이들이 세상에 나와 사회의 주역이 되었을 때는 좀 더 좋은 세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 봅니다.
정직하고 성실한 사람이 사람대접 받는 사회, 이마에 흘린 땀의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는 사회, 물질 만능주의에서 헤어나와 다소 남루하지만 자존심을 가진 사회...

그런 세상을 꿈 꿔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르쿠츠크 역 

바이칼 호수로 가는 관문도시 입니다. 

25시간의 열차여행을 이곳에서 마감합니다. 

'시베리아의 파리'라는 별명답게  

역사가 아주 고풍스럽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남편의 핸드폰 변천사

핸드폰 이야기

방에 있으니 거실에서 주고 받는 아버지와 아들의 대화가 들립니다.
"아들, 내일 아빠 핸드폰 사는데 좀 따라 가자."
"아빠는 그 나이가 되도록 핸드폰도 하나 혼자 못 사나?"
아들의 핀잔에 아버지는 끄떡도 하지 않습니다.
"핸드폰은 나이가 들수록 잘 못사는 거다."
일 년 반쯤 전에 그동안 쓰던 핸드폰이 고장이 나서 다시 샀는데
새로산 핸드폰이 두어 달 지나서 액정이 깨지는 바람에 다시 바꿔야 했어요.
대리점에 알아보니 일년이 지나지 않아서 위약금을 물어야 된다고 했어요.
남편이 기계하고 별로 친하지 않아선지 같이 산 제 핸드폰은 멀쩡하거든요.
계획에도 없던 돈이 들어가게 생겨서  전화 걸고, 받고, 문자 보내고, 받는 것 되면  그냥 쓰라고 엄포를 놓았더니 하는 수 없이 그냥 쓰더라구요.
일 년이 지나자 이젠 위약금 물지 않으니까 폰을 바꾸겠다는 거에요.
액정이 깨진 상태라 갑자기 고장이 나면 번호 저장해 둔 것 다 날아간다면서요.
그게 6월 쯤이었어요.
핸드폰이란 게 "이거 얼마에요?" 가격을 묻고 돈을 지불하여 사는 게 아니잖아요.
공짜폰이 널렸는데 돈을 주고 사면 바보 되는 것 같고,  그런 공짜폰을 가질려면 대리점에서 제시하는 이런저런 편법을 써야하는데  그게 저로서는 도무지 알아듣지 못하는 말이고. 직원들은 부지런히 소비자를 위하는 것 처럼 입이 닳도록 설명을 하지만 소비자들은 "다 저희들 배불리는 소리지, 소비자는 봉이 아닌가?" 하는 불신감이 있지요.
봉이 안될려면 정신을 바작 차려야 하는데 이런저런 골치 아픈 것이 싫어서, 방학을 해서 아들이 집이 오면 사라고 미뤄두었더니 어느 새 개학날이 다가와 아들이 다시 서울로 올라가게 되었어요.
그래서 하는 얘기인 모양입니다.
이튿날, 남편의 폰 하나 사는데 식구가 다 출동을 했어요.
자동차로 이십 여 분 가야 하지요.
반을 훨씬 더 가서 갑자기 남편이 이러는 거에요.
"나, 지갑 안가지고 왔다."
아들과 제가 동시에 물었어요.
"그럼 신분증은?"
"폰 사는데 신분증도 있어야 하나? 난 몰랐는데 진작 가르쳐줬어야지?"
적반하장도 유분수지,
신문이나 방송에서는 하루가 멀다하고 남의 신분증으로 대포폰을 개설하여  범죄에 이용하기도 한다는 소식들을 전하잖아요.
신문을 하루에 몇 시간씩 꼼꼼하게 보는 양반이 도대체 뭘 보는지 모르겠어요.
당연한 그걸 뭘 가르쳐 줘야 하나?, 소리를 하고 싶었지만 이왕 안가져 온 걸 어쩌겠어요?
다시 차를 돌려 집으로 갔겠지요.
대학과 대학원을 수석 입학, 수석 졸업을 한 사람입니다.
그러면 뭘 해요? 핸드폰 사서 메뉴얼 찾아 읽고 해결하지 못하는 걸요.
하나에서 열까지 다 아들에게 묻습니다.
그리고 잠자리에 들었어요.
근데 자는 저를 다시 깨웁니다.
"여보, 소리 안나게 하는 건 어디 있어?"
'진동모드'도 아니고, '메너모드'도 아니고 그냥 '소리 안나게 하는 거' 입니다.
"병원 갔는데 소리 나면 어떻게 해."
내일 아침 일찍 병문안 가보아야 하는 데가 있는데 그것 때문에 그런 모양입니다.
남편의 첫 핸드폰을 LG 것을 썼었어요. 그걸 몇 년 썼으니 거기에 익숙했겠지요.
그런걸 작년에 핸드폰을 바꾸면서 저랑 같은 삼성을 샀더니 일년 내내 다르고 불편하다면서  툴툴거리는 거 있죠?
새로 사서 두 달 만에 고장을 낸 거 봐요.
저는 기계도 사람말을 알아듣는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저는 제 자동차를 타고 갈 때도 말을 겁니다.
'어디까지 갈거다. 우리 잘 가자' '고맙다. 잘 왔다.' 이런 식으로요.
그래서 이번에 사면서 다시 LG로 바꿨어요.
"자기 핸드폰 처음 써? 처음 것과 똑 같잖아."
겨우 잠들었던 터라 신경질을 내었어요.
"그래도 잘 모르겠다."
하는 수 없이 안경을 찾아 꼈어요.
"눈도 나보다 좋으면서 정말 왜그래? 입 대신 눈을 좀 써봐."
손가락으로 왼쪽 맨 하단에 있는 * 표 매너모드를 짚어주었지요.

정말 우리 시댁 식구들 말처럼 제가 버릇을 잘못 들인것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무가 있는 마을 

이르쿠츠크로 가는 길에 있는 아침 무렵의 어느 마을입니다. 

사진을 보면서 샤갈의 그림을 연상했습니다. 

대부분 그럴 터이지만 한 발 비껴서서 보는 마을은 아름답고 평화롭습니다.  

그러나 이 평화로워 보이는 마을에도 갈등과 분쟁과 미움은 있겠지요. 

중앙에 있는 나무는... 

그 모든 것을 지켜보았겠지만 

묵묵히 자기의 자리에 있습니다. 

마을 너머로 바이칼 호수가 보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양들의 삶 

이른 아침 

시베리아를 횡단하는 열차 안에서 찍었습니다. 

이런 동토의 땅에도 사람이 살고, 

양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