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문득 잠시 뒤를 돌아보니 앞만 보고 살아오느라 내 자신이 너무 황폐해져 있는 것 을 느꼈어요.
바쁘게 살아가는 것에 가속이 붙어서 그 스피드 때문에 천천히 갈 생각을 아예 하지 못하고
그냥 속도에 휩쓸려 살아가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했어요.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하며 몇 날 밤잠을 설쳤어요.
그만 그 속도의 수레에서 내려 내 발로 걷고 싶었어요.
매사에 긍정적이고 여유있는 친정아버지의 성격을 닮았다고 생각을 했었는데 무엇이든 반듯하고, 정확해야 하는 바른생활사나이랑 삼십 년 가까운 세월을 살아오다 보
니 자로 잰 듯한 생활에 한 치의 일탈도 없이 살아왔어요.
남편과 맞춰 살아오느라 여기까지 왔지만 사실은 그것이 저의 모습은 아니었어요.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고서는 살다보면 그냥 맞겠거니 생각을 했던 거지요. 그러나 이제는 팽팽히 당겨져 있는 줄을 놓고 싶어졌어요.
그렇다고 홀로 ‘독립만세’를 하려는 것은 아니구요.
이제부터라도 내가 하고 싶은 일들을 한 가지씩이라도 하고 살자는 쪽으로 마음을 바꿨지
요.
그래서 지난 봄부터 문화센터에서 사진공부를 시작했지요.
카메라를 만지면서 영화감독이 꿈이었던 오빠가 있는 걸 보면 저도 사진찍기를 좋아하는  
것이 전혀 엉뚱한 일은 아니에요.
가끔 영화도 보고 음악회도 가면서 ‘천천히 가고 싶다’는 생각에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했지
요.

얼마 전, 문화예술회관에서 시립교향악단의 정기연주회가 있었어요.
성장을 하고 갈 준비를 했지요.
사실 시 외곽에 사는 터라 큰맘 먹지 않으면 밤외출은 좀 어려워요.
살아가는 방식에도 습관이란 게 얼마나 큰 작용을 하는 지 몰라요.
이미 익숙한 데에 길들여져 있어서 작은 변화에도 적잖은 저항을 받기가 일쑤이지요.
그러나 좀 더 풍성한 삶을 살기를 원한다면 꼭 넘어야 할 산이지요.
저에게도 어쩔 수 없는 그런 태클이 들어옵니다.
“이 밤에 거기까지?”
이 말 속에는 그냥 집에서 함께 있자는 말이지요. 제가 끝까지 가겠다면 따라나설 게 분명 
죠.
그러나 전 혼자가 편할 때가 많아요.
저는 좀 여유있게 가서 사진전시회도 둘러보고 느긋하게 밤시간을 보내고 싶은데 남편은 
그게 안 되는 사람이에요.
'연주회 가는 것이 목적이면 연주만 들으면 됐지 사진은 또 뭐야?' 이러는 사람이죠.
시간 계산도 정확해서 오 분쯤 전에 도착하도록 움직입니다.
그러다가 차가 막힌다든지 하는 변수가 생기면 낭패를 보는 거지요.

아무튼 자동차로 삼십여 분 가야하는 번거로움이 못마땅하지만 그래도 밤 시간에 혼자 집 
에 남아 있기는 싫은 모양이에요.
“음악회라곤 고등학교 시절에 음악점수 받으려고 팜플랫 구하러 가보고는 처음이네.”
어쩌고저쩌고 하며 따라나서네요.
“넥타이도 매야 하나?”
못들은 척 옆에서 재촉하는 저에게
“왜 그렇게 일찍 가야하는데?”
누가 함께 가달라고 했나, 자동차를 태워 달라고를 했나.
감정이 서서히 위험수위에 오르고 참았던 말이 터져나왔어요.
'젖은 낙엽 증후군'에 속해 있는, 남편이 제일 무서워하는 말이고 약발이 제일 빨리 반응하 
는 말이지요.

 
“자꾸 그러면 나 혼자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