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단상

케이트는 카르텔의 무자비하고 적나라한 폭력에 맞서 물러서지 않는 굳은 용기와 신념으로 무장한 마약 단속반 경찰이다. 그녀는 법과 원칙이 작동하는 세계를 수호하는 임무에 헌신한다. 그러나, 그녀가 더 많은 조직원들을 잡아들이고, 살인귀들을 쫓을수록 그들은 케이트의 세상을 잠식해 들어온다. 그녀가 '질서'를 바로잡으려 할수록, 세계는 더욱 '무질서'해지고, 이성을 잃어간다. 그녀는 그 이유가 너무도 알고 싶었기에 기꺼이 지옥 심장부의 초대를 받아들인다.

이 타락한 수렁에 영문도 모른 채 합류한 케이트는 전쟁의 주요 행위자들과 달리 애써 지켜야 할 대상이 없다. 그녀는 남편도 자식도 없는 이혼녀로서, 제발 외모 좀 꾸미고 다니라고 말하는 동료 경찰 레지가 그나마 친밀한 지인이다. 그녀가 지켜야 할 최고의 가치는 '사랑'이 아니라 '진실'과 '원칙'이다. 그렇지만 그녀가 지키고자 하는 세계가 과연 그러한가? 이 전쟁을 진두지휘하는 것은 정해진 경계를 넘어 자신의 운명을 거스르는 세력을 응징하는 제국, 미국이다.

케이트는 그야말로 무기력하다. 작전의 전 과정에 이방인처럼 떠돌고 무시당하며, 궁극의 세력 균형과 질서 유지에 철저히 이용되는 소품에 불과하다. 케이트는 비정상 세계와 대립하는 정상 세계의 대등한 대변자가 아니라, 본래 정상 세계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또 다른 진실의 엑스트라이다. 세계는 그녀의 소망과 무관하게 제자리로 돌아간다. 영화는 케이트의 정당성을 옹호하거나 부각시키려 애쓰지 않으며, 감독이 바라본 세계를 충실히 복원하는데 주력한다.

여기서 두 가지 물음을 던져볼 수 있다. 세계가 불가피하게 선악이 공존-거대한 악에 선이 매달려 있는 형태의-하는 곳이라면, 그 질서의 균형점은 도대체 어디인가? 그리고 그 질서를 주관하는 자는 누가 주관하는가? 과연 맷 그레이버의 주장처럼 세계의 마약 인구 20%를 설득할 수 없다면 기존 질서를 복원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말은 질서의 균형점을 짚고 있는가? 이 사실을 받아들인다 해도, 균형의 조정자를 자처하는 가장 강한 폭력은 누가 관리할 수 있는가?

불안과 평온, 궁핍과 여유, 질서와 무질서의 대립과 혼재는 인간사의 불가피한 모습이다. 한 가지 모습으로 이루어진 세계는 어디에도 없으며, 우리는 그저 양 진자 사이의 어딘가에 있을 피난처를 찾아 탐조등을 비추며 방황할 뿐이다. 누구나 후아레즈 바깥의 세계를 원하지만, 세계는 후아레즈와 후아레즈 바깥이 아니라 제국과 제국의 바깥으로 구분된다. 베트남의 정글과 아프가니스탄의 사막, 소말리아의 인종 학살, 콜롬비아의 메데인은 모두 후아레즈의 과거이다.  

후아레즈는 자연발생적인 장소가 아니라 제국이 빚어낸 인공의 산물이다. 제국은 균형의 조정자를 자처하고, 무질서한 세계를 관리하지만, 그것은 제국이 자신의 영속만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신념을 지닌 제국의 일원, 케이트와 맷 그레이버는 가장 강한 폭력의 숭배자가 될 수도 있고 관리자가 될 수도 있다. 이들은 유동하는 경계를 부단히 일깨운다는 점에서 관리자 역할에 힘쓰는 동지이다. 무관심으로 '질서'에 편승하는 자들이 바로 제국의 숭배자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