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자 평전 - 권위와 신화의 옷을 벗은 인간 공자를 찾아서
안핑 친 지음, 김기협 옮김, 이광호 감수 / 돌베개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1. 2,500년의 세월
1) 공자 시대의 현인들이 賢•尙•德 등의 가치 우위적인 개념어들의 정의를 새롭게 내린 이유는 혈통 중심의 사회질서를 깨뜨리기 위해서였다.
2) 공자는 제후들과는 정치 원리를, 대신들과는 인간 본성을 토론하였고, 서민들을 성심으로 대하였고, 은자들을 자기 비판의 거울로 삼았다.
2. 우울한 출발
(앞의 2권과 반복되는 내용)
3. 공자 시대의 정치
1) 공자에게 주공은 이상화된 정치가였고, 주나라는 이상화된 국가였다. 즉 도덕을 체현한 군주(와 그를 보필하는 바른 신하)와 그가 다스리는 나라인 것이다.
4. 젊은 길동무들
1) 자공은 주어진 상황에 체념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기민함을 가졌으므로 공자는 그와의 대화를 통해 주제의 다른 측면을 이끌어내곤 하였다.
2) 안회는 영민함만으로 도를 얻으려 하지 않고 높이 바라보고 깊이 파고드는 자세와 사라질 듯 멀어지는 진리를 향한 포기하지 않는 의지로 깨달음을 구했다.
3) 자로는 信•直•勇•剛을 갖춘 우직한 사람이지만, 공자는 그의 이러한 덕목들이 배움의 자세를 겸비하지 않으면 그른 길로 접어들 수 있음을 경계하였다.
5. 고달픈 유랑
1)위나라는 노나라와 兄弟之國의 관계였기 때문에 공자는 그곳에서 정치적 부름을 기대하였지만 영공은 예법과 덕치보다 부국강병에 관심이 많았다.
2) 세상의 외면에 대해 자로는 스승의 모자람을 탓하고, 자공은 세상의 그릇에 스승이 맞추기를 바랐으나 안회는 스승의 도가 세상보다 넓음을 자부하였다.
3) 자신의 도를 널리 펼 수 없는 세상임을 알면서도 공자가 관직을 구하는 일에 부단히 노력한 것은 흙탕물에 뒹구는 일의 의로움을 이해하기 때문이었다.
6. 돌아오는 길
1) 염구는 전쟁에 임하여 승리하고 전부田賦를 시행하여 주군의 곳간을 넉넉히 채웠지만 이를 시행하면서 백성을 헤아리지 않아 의로움을 희생하였다.
2) 후진後進 제자였던 자장은 도덕적 명제들을 탐구하면서도 출세지향적인 반면, 자하는 사소한 가르침을 두텁께 쌓아올려 배움을 이루고자 하였다.
7. 가르친다는 일
1) 만년의 공자는 스승의 직분에 충실하였으며 그의 가르침은 일방적으로 베푸는 것(敎)이나 말로 하는 것(訓)이 아니라 빛을 비추는 일(誨)이었다.
2) 예란 형식의 엄격함에 있는 것이 아니라 격식을 지키려는 마음의 바탕에 있는 것이므로 매사에 양 극단의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는 성찰 그 자체이다.
8. 삶과 죽음의 예법
(본문 인용)
9. 두 사람의 후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