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 - 선사시대부터 중세까지, 개정판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백낙청 외 옮김 / 창비 / 199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문학’과 ‘예술’과 ‘사회’의 3가지 주제 중에서 저자가 방점을 찍고 있는 부분은 바로 ‘사회’史이다. 저자의 의도는 ‘문학’과 ‘예술’의 변천과 전개 양상을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닮은 듯 다른 렌즈에 비친 시대별 ‘사회’의 모습이 어떠한가를 그려내는 것이다. 일반적인 예술 관련 책들과 달리 도판이 거의 실려 있지 않다는 점도 이런 저자의 태도를 잘 보여준다.

고대부터 중세까지의 사회사에서 눈길을 끄는 대목은 역설의 미학이다. 과거에 전개됐던 과정들이 기시감처럼 반복되고, 장강의 뒷물결이 앞물결을 밀어내듯이 한 사회가 가꾼 토양에서 무럭무럭 자라난 새싹들이 옛 제도와 관습을 해체한 후 새로운 사회의 기반으로 자리매김한다. 이렇게 부단히 요동치는 역설의 파도가 인간의 창조력을 자극하고 예술을 잉태한다.

예술은 종교적 의식(儀式, 意識)에서 비롯했지만, 작가의 자의식이 깨어났을 때 종교의 기반을 잠식한 것은 바로 예술적 창조력이었다. 그리스의 민주주의는 귀족정의 폐단을 속속들이 체험한 귀족들에 의해 수립됐지만, 민주적 절차에 따라 자신의 설계자를 추방했다. 부르주아 혁명의 최대 맞수였던 절대 왕정을 키워낸 것은, 부르주아들이 보급한 화폐 경제였다.

선악(혹은 미추)는 천사의 날개 속과 악마의 뿔 위에서만 선명하게 나뉘어 숨쉰다. 인간은 그저 그 사이에서 흔들리는 갈대일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