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티컬 마인드 - 21세기 정치는 왜 이성과 합리성으로 이해할 수 없을까?
조지 레이코프 지음, 나익주 옮김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이 이성적 존재라는 프레임은 1,2 세계대전의 비이성적 발발로 소멸된 듯 보였다. 하지만 그것은 사라지지 않고 시행착오라는 말로 포장되었다. 그것은 '반성적' 고찰이 아니라 '반사적' 무의식의 발현이었다.

1장
18세기에 확립된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이성의 개념과 달리 현대 인지과학에서 발견한 이성은 신체적, 감정적이며 부분 보편적이다. 이 신이성은 뉴런의 연결과 강화라는 뇌 속의 물리적 구성 양태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 뉴런의 접속은 하나의 경로만을 의지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사안에 따라 보수와 진보적 가치를 오가는 이중접속이 가능하지만, 그 동작은 무의식적으로 기존에 강화된 루트를 따라 이루어진다.

2장
이중접속은 '가정' 은유로 이해할 수 있다. 하나는 엄격한 아버지 유형으로서 이 가정에서는 절제와 경쟁을 통한 성취가 중시되며 성과는 당사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하나는 자애로운 부모 유형으로서 감정이입을 통한 상호 존중과 이해를 중시하며 사회속의 유기적인 다중 연결망을 염두에 둔다. 하나의 개념-예컨대 자유-이 어떤 루트를 따르는가에 따라 '뇌의 강화'를 거친 프레임은 매우 다른 모습을 보인다.

3장
'합리적 행위자 모형' 또한 마찬가지다. 개인이 합리적 이성을 바탕으로 행위하고 합리적 판단하에서 결국은 전체에 이익을 가져오는 행위를 한다는 이론(보이지 않는 손)은 은유와 희망으로 가득찬 수사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에 적용될때는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틀로써 작용한다. 이러한 '합리성'에 대한 과도한 믿음은 이익 추구에 기반한 행동을 정당화하는 논리를 제공하며 그것을 수용할때 생기는 거부감을 제거한다.

'역지사지'의 감정이입은 공동체의 구성 원리이다. 우리는 협동과 경쟁이라는 두 가지 테마를 놓고 무엇이 옳은가를 치열하게 '경쟁'해왔다. 이제는 '협동'의 구조를 기반으로 한 선후의 관계를 도출해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