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종교사상사 1 (양장) - 석기시대에서부터 엘레우시스의 비의까지 신화 종교 상징 총서 1
미르치아 엘리아데 지음, 이용주 옮김 / 이학사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석기시대부터 이미 영성을 표출해 온 인류는 삶의 터전마다 조금씩 다른 생활양식에 영향을 받아 큰 공통점과 미묘한 차이점을 가진 종교의식을 보여준다.

1. 순환하는 우주론과 끝이 예정된 종말론
고대 신앙의 주류는 사계절의 변화와 식물의 생장-소멸이라는 조화를 반영한 순환론이다. 이 관념은 인간 또한 죽음의 강을 건너 불사에 이를 수 있다는 소망(이집트)으로 승화되거나 윤회의 고리에 갇혀 영원히 재탄생해야 한다는 관념(인도)으로 표현되었다. 현세계에 끝이 있고 다른 세상(천국)에서 부활하리라는 종말론은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에서 발원한 독특한 사상이다.

2. 인간과 신 사이의 거리감
인간의 가능성을 고찰할 때 신의 숨결을 받은 측면에 주목하면 인간도 명상이나 요가와 같은 수행을 거쳐 신적 진리(gnosis)에 다가설 수 있다. 그러나 육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측면(진흙)이 우선하면 신과 인간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심연이 존재한다. 그 사실을 깨닫지 못한 (영웅적) 인간이 지나친 탁월함(arete)을 과시하면 결국 자신의 오만(hybris)에 걸려 넘어져 파멸에 이른다.

3. 신성이 깃든 자연과 역사의 신성화
고대인들은 당연하게도 눈에 보이는 온갖 오묘한 자연 현상을 신과 결부시켜 해석했다. 이 강력한 신들(바알, 제우스)은 창조신을 권좌에서 끌어내려 "숨은 신"(deus otiosus)으로 격하시킨다. 이러한 자연적 범신론이 신성을 훼손한다고 생각한 유대인들은 오직 야훼의 기치를 내걸고 무대를 자연에서 역사로 이동시킨다. 이제 눈 앞에 닥치는 모든 시련과 행복은 하나님의 섭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