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울물 소리
황석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야기꾼이 들려주는 이야기, 이야기란, 아니 오늘의 한국문학이란 바로 이런 뿌리에 연유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 같다. 전기수, 강담사, 그리고 재담꾼, 연희재담가들이 읽어주고, 꾸며내 들려주던 규방일화와 염정담, 군담 등 민담, 방각본 언패소설, 판소리 등 민중들의 삶에 기초하고 있다고. 정작의 역사는 바로 이러한 민중의 삶의 이야기 속에 깃들어 있다고 말이다.

그래서‘사람이 곧 하늘(人乃天)’이라고, 비로소 민중 자신의 말을 하기 시작한 시대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은 참말의 이야기, 바로 우리들의 진짜 역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소설에 대한 작가 스스로의 정의처럼 주류의 역사에 가려져 보이지 않았던“자생적 근대화”를 통과하는 조선 민중의 고통과 상처의 실체라는 이 무거운 진실이 고요한 산마을 오직 여울물 소리만 돌돌돌 나듯이 나지막하게, 꾸밈없는 할아버지의 옛 이야기로 들리는 까닭은 역시 우리들의 몸속에 흐르는 이야기에 대한 민중적 공감과 동의의 탓일 것이다. 더구나 소설의 말머리부터 색주가와 흔쾌한 어우러짐의 질펀한 대화, 관기였던 양반첩이 된 관기 월선과 그 소생인 연옥의 등장은 익살과, 재치와 기지 넘치는 이야기의 세계로 곧바로 이끌어댄다. 저 먼 권력자들의 아귀다툼을 쓴 민중과 괴리된 역사가 아니라 민초들의 역사라는 그 친근함의 이야기로.

 

“가지마라 부헝”...아마 이 부엉이 울음소리는 다가 올 여인의 인고(忍苦)를 만류하려 함이었을까? 그럼에도 자신의 발목을 잡은 남정네의 손아귀에 끌려 어느새 그의 품에 안겨있었다는 話者,‘연옥’의 말은 여인네의 수줍은 듯 발칙한 연정이 그득하다. 이 하룻밤의 운우지정(雲雨之情)덕에 민중의 삶을 민중의 시선으로 보게 된다. 그 이름도 신통방통한‘이신통’이란 이야기꾼(傳奇叟)이 꿈에도 잊을 수 없는 지아비가 되고, 연옥은 사랑, 그 무심한 남정네의 행적을 쫓아 시대를 술회한다.

 

삼정(三政)이 무너지고, 백성은 탐관의 부패로 신음하던 시절, 과거제 역시 매관매직의 다른 형식으로 타락하고, 무능한 권력은 외세에 꺾여 제 목소리를 잃어버리던 시대, 백성은 어디에도 그 고통을 말 할 곳이 없었을 것이다. 이 의탁할 곳 없는 백성들의 믿음이었던 서양의 천주학조차 침략과 약탈의 표리부동이었으니 민중의 신앙으로서 동학(東學)의 자생적 발흥은 결단코 필연이자 당위였을 것이다. 소설은 이러한 시대사(時代史) 자체를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민중적 실체, 그 속살을 말하고 있다. 또한 민담, 재담과 같은 이야기로서의 한계를 넘지 않으면서, 삶이란 것 자체의 순수성으로 더 많은, 더 깊은 시대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다.

 

과거장의 풍경 속에서 시골 유생들의 염원을 기만하는 돈벌이, 각종 차별과 부당함 등 시장 장터와 같은 문란함과 혼탁함이 익살스럽게 그려지고, 거창한 역사적 명명인 임오군란 역시 생존까지 수탈당하는 백성들의 무참하고 쓸쓸한 죽음으로 이어지는 일상적 면면들이 역사를 대체한다.

어쨌든 소설의 중심을 흐르는 시대적 사건은 동학혁명이다. 인간이 하늘이다. 라는 이 천지가 개벽할 민중적 자각을 위해 모든 이야기가 모인다고 해도 지나친 것은 아닐 것이다.

 

민중이라는 나라의 실질적 주체들에게 역사를 돌려주려는 작업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그 책무를 짊어진 이가 바로 이야기꾼이다. 반쪽짜리 양반인 서자인 아버지에 다시금 노비의 소생인 얼자라는 계급은 이미 신분상의 한계를 의미한다. 그래서 자신의 여인들, 가족을 위해서 정착하지 못하고 방랑하는 인물이 될 수밖에 없었을 게다. 그들에게 떳떳한 지아비로서, 아들로서, 형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는 시대였으니 말이다. 사람들에게 언패소설을 읽어주는 이야기꾼이 되었던 것은 젊은 청년‘이신’이 세상과 함께 울고 웃으며 서로 어루만지는 유일한 선택이었을지 모른다.

 

책을 읽어주던 전기수의 삶이 동학이라는 민중으로서의 의식을 깨우치게 하는 목소리가 되기까지의 스스로 얽어맨 삶의 행적은 그대로 이야기꾼, 작가의 소명이라는 본질, 아니 어떤 소명의식에 가닿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이를, 서방의 행적을 좇는 여인, 그녀의 신산한 행적조차 경박하지 않고 엄숙해 보이는 것은 이런 연유에서 일 것이다. 사랑하는 이를 향한 오랜 좇음의 기대는 그녀에게 재회와 잉태라는 숭고하기조차 한 역할을 부여한 것만 같다. 민중의 얘기, 정말의 역사가 후대에도 잇닿게 하는 그런 소명을 그녀의 몸에 불어 넣은 것이 아닐까? 그래서 오늘의 우리들의 몸속에도 이야기꾼의 그 진실한 삶의 이야기들이 전해질수 있도록 말이다.

 

아마 우리의 소설이란 이렇게 질서와 권위의 힘에 가려진 민중의 삶들을 드러내는 것이고, 바로 그 연원이란 이들의 행적에 담겨있음을, 또한 이야기꾼이란 세상을 말하는 일꾼의 목소리이기도 함을 말하려는 것일 게다.

사위가 고요한 산속 여울물 소리처럼 번잡함과 거창함이 배제된 소박한 이야기에 빠져 절로 우리들의 몸과 신체에 흐르는 역사의 소리를 듣는 듯하다. 이야기의 역사, 그리고 민중의 역사가 같은 호흡을 하며 다가오는 우리 문학의 새로운 장을 보게 된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2-12-15 09: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필리아님, 좋은 리뷰 고맙습니다. 담아두고 있던 신작, 주문 어서 해야겠어요. 땡스투유~^^

필리아 2012-12-15 10:36   좋아요 0 | URL
이야기꾼이 들려주는 이야기꾼의 이야기죠...고맙습니다. 프레이야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