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권은 밤에게 작가정신 소설락 小說樂 3
이신조 지음 / 작가정신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 밤이란 꽤나 낯선 언어가 된지 오래된 것 같다. 어둠이 내려앉은 도시의 적막과 소요의 묘한 대조, 시원(始原)으로의 회귀나 안온한 고요의 감동과는 동떨어진 삶의 세계에 익숙해진 탓이리라. 혹은 엄마의 자궁 속 그 태곳적 기억에서 벗어나 그 적요의 시간을 그리워하지 않을 정도로 시간이 흘렀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제 서서히 자연의 순환은 다시금 밤의 시공을 생각게 한다.

 

밤에 관한 이런 나의 단상과는 달리 소설에는 도시의 밤거리와 어둠의 방을 찾아 헤매는 아직은 소녀를 벗어나지 못한 스물두 살 여자가 있다. 할머니와 재가(再嫁)를 한 엄마의 집을 오가며 살았던 어린 시절의 기억, 그리고 엄마의 돌연한 죽음, 할머니의 별세는 어린 여자에게 세상과의 이른 만남을 불가피하게 했다. 화장품 하청 공장의 공원에서 부동산중개업을 하는 계부의 요청으로 ‘아침 부동산’이라는 부동산사무소의 운영을 맡게 된다.

 

스물두 살의 여자와 부동산이 어긋난 삶의 모습 같기만 하지만, 그녀에게 의뢰된 집과 방들이란 이미지에 다가서면 그것은 곧 어둠이요, 평온이며, 위안의 장소로서 그리움, 회귀의 공간처럼 보여 더없이 적절한 만남으로만 여겨진다. 그래서 그녀가 불쑥 찾아들어 잠드는 허술한 단층의 빈집이나, 다세대주택 반지하방은 어둠과 밤의 공간이며, 엄마의 자궁처럼 그녀의 성장을 위한 장소가 된다.

 

‘집 임자는 따로 있는 거다’라는 말처럼 오랫동안 찾는 이 없던 빈 단층집을 계약하던 쌍둥이 노인 자매와 그녀들이 꾸며놓은‘나이트 룸’은 어둠의 평화로움으로 방황하는 영혼들의 심연을 위로하는 장소가 되고, 스물두 살 부동산 아가씨는 암흑의 응시에서 자신의 내면을 어루만진다.

한편 밤을 떠돌밖에 없는 가난한 고학생의 편의점 야간 아르바이트, 그런 앳된 남자를 기웃거리기위해 도시의 밤거리를 걷는 여자의 연정, 알지 못하는 그리움, 동류에 대한 애틋함은 한 뼘만큼의 성장처럼 다가온다. 늦은 밤 남자와 찾은 반지하 방에서의 짧은 합일과 이별, 나이트 룸의 폐쇄는 그녀를 싸고 있던 껍질의 깨어짐을 알리는 신호였을까?

 

그녀의 허기진 마음을 달래는 인스턴트 음식들과 불어나 뚱뚱해 진 몸이 다시금 가냘픈 몸으로 돌아가는 날, 두터운 겨울외투와 초라한 미니 부츠를 벗어던지는 날, 엄마를 닮은 여인으로서의 자신을 믿게 되는 날, 자신의 안식처가 될 수 있는 깊이 잠들 수 있는 집을 느끼는 날을 이 도시가 허락할까?

한낱‘검은 덩어리’에 불과한 것으로 여겨지던 자신에게 색을 입히고, 빛을 찾아주기 위해 상실과 상처, 자기연민에서 탈주하려는 그녀의 방황어린 발자취를 따라가는 독자의 마음은 이 살벌하고 무관심하며 소란스러운 도시가 과연 품어낼 수 있을까하는 걱정이 앞서기도 하지만, 세상에는 작은 보살핌, 구원이 어딘가에 있을지도 모른다는 옅은 희망의 가능성을 바라게도 된다. 스물둘의 여자아이가 지닌 상실의 애도를 아직도 경험하지 못한 나는 여전히 미숙한 채 머물러 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불현듯 떠오른다. 그래서 이제야 밤을, 어둠의 심연을 바라보게 되는 것일지도. 그렇담 나는 어떻게 밤을 통과해야 할까?...이 성장과 애도와 치유의 이야기가 알 수 없는 위로가 되는 까닭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