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8, 우연히 데이브 거니 시리즈 1
존 버든 지음, 이진 옮김 / 비채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에게 나의 무의식을 지배당한다면? 내 생각과 행동을 나보다 잘 알고 있는 누군가가 내게 위협을 가해온다면 그에게 항거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이란 아무런 소용도 없을 것이다. 그로부터 야기되는 두려움과 공포를 무어라 할 수 있을까?
날아든 편지, 1000 이하의 숫자를 떠올려보라는 황당한 요구, 그리곤 무심히, 어떠한 연고도 없는 숫자 ‘658’, 단지 그 순간 마음속에 그린 숫자가 동봉된 다른 봉투에 똑같이 적혀있다면 아연실색할 것이다.

게다가 숫자가 야기하는 전율과 공포를 훌쩍 뛰어넘어 의도적으로 남긴 무수한 증거들에도 불구하고 답변이 불가능한 살인사건에 봉착하면 그야말로 초월적 존재를 생각할 수밖에 없게 된다. 타인의 생각과 심리를 꿰뚫어보는 존재, 담배꽁초, 부츠, 깨진 술병 등 범행도구까지 즐비한 증거가 수사상 아무런 말도 해주지 않을 뿐 아니라 갑자기 사라진 눈 위의 발자국처럼 황당하기까지 하다면 신비와 영적 현상이라 치부해버려야 할지도 모른다.

이처럼 이 작품은 독자들의 상상력의 한계를 자극하고, 취약한 정신세계를 조롱한다. 지적 도발이다! 그래서 사건의 진행과정에서 흩뿌려지는 단서들을 알아차리고 그것들을 조합하여 사건의 중심에 다가가려는 시도에 몰입하게 한다. 또한 삶의 아픔과 사랑, 자기 바라보기, 타자에 대한 이해와 조화 등 인생의 고귀한 어떤 것들과 같이 문학적 향취까지 더해지면서 한 단계 진화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스릴러 문학의 정수를 보는 충만한 기쁨까지 느끼게 한다.

사건은 은퇴한 뉴욕경찰의 1급수사관, ‘거니’에게 25년 만에 찾아온 대학동창의 도움의 요청으로 시작된다. 야릇한 편지와 숫자, 그리고 죽음의 복수를 암시하는 8행시, 숫자 658, 19 등 협박자는 동창생‘맬러리’의 생각을 읽고 있다. 그러나 협박자의 서신이나 전화로부터 구체적 실마리를 찾아내지 못하던 중에 동창생은 살해된 채 발견된다. 경찰에 대한 증오와 조롱이 담긴 쪽지가 발견되고 남겨진 증거들에서 어떠한 단서도 발견하지 못한다.
현직 경찰이 아닌 은퇴자인 전직 형사인 거니가 이 사건에 참여할 의무란 없다. 뉴욕 교외의 전원주택에서 은퇴생활을 시작한 그가 자기만의 세계, 직업적 도피처로 달아나려는 것은 아내와 가족에 대한 진실한 사랑으로의 접근을 차단한다. 그럼에도 그는 사건 담당 지방검사의 수사참여 요청에 동의하고 다시금 살인사건에 몰입한다.

여기서 작품은 두 갈래 길을 걷는다. 은퇴형사 거니의 삶에 드리운 고통, 그의 트라우마를 구성하는 고뇌의 원천, 그로부터 야기되는 아내‘메들린’과 아들, 가족과의 소원함으로부터 야기되는 자기 삶의 성찰과 삶의 진실성에 대한 추적이 배경이 되어 흐르며, 한 편은 살인의 단서와 동기, 살인자의 행적을 쫓는다. 침착함, 치밀한 계획과 완벽한 실행, 의식(儀式)적 행위, 천재적 완전성 등 범인은 사건을 완전하게 지배하고 있다. 단지 경찰을 향해 내뱉는 짙은 혐오와 분노가 어렴풋이 가리키는 방향을 추적한다. 동일한 협박과 이에 반응한 사람들의 연쇄적인 죽음, 이 잇단 피살에 은닉된 공통성을 찾아야 하며, 그리고 거의 알아차리지 못할 만큼의 사소한 대화에 깃들지도 모를 단서에 온 신경을 집중하게 한다.

교활하고 가히 천재적인 연쇄 살인범, 상황을 완전히 지배함으로써 자신의 우월성을 드러내려하는 이 사이코패스의 추적은 수사팀의 회의장면을 통해서 또 하나의 멋진 드라마를 보여 준다. 권위와 지위에 아부하고 부하에겐 한 없이 편협한 무능한 리더인 수사반장, 노련미 넘치는 정치지향의 지방검사, 예리함과 통찰력 넘치는 젊은 형사들, 범죄 심리학자를 통한 사건전개의 예측 등, 조직과 영역에 놓인 인간들의 적나라한 모습들을 관찰하게 하는가 하면 사건의 단서와 복선까지 혼재케 하여 지속적인 긴장감과 흥미를 놓지 못하게 한다.

살인, 복수의 의식을 완성하려는 연쇄살인범과 그의 실체를 밝혀내려는 형사 거니의 교우는 불가피하다. 회피하고 외면하려 하는 어두운 심연에 묻어둔 자기를 드러내지 못하는 거니의 살인범의 추적은 곧 자기성찰과 삶에서 정작 중요한 것들의 이해로 다가서는 길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범인과의 극적인 조우는 사건의 종결이라는 의미와 함께 가족에 대한 작고 소박한 소통과 관심과 같은 우리가 잃어버린 귀중한 미덕들에 대한 각성으로 모아진다. 열린 수사, 다층적 추리, 숫자와 밀실의 트릭 등, 다채로운 기법들과 퍼즐처럼 제자리를 찾아가야만 하는 단서들의 조합과 전개까지 더해져, 모처럼 경계를 벗어나는 의식의 창발을 하게하는 작품이다. 아마 훗날 이 작품부터 21세기 새로운 형태의 스릴러문학이 시작되었다고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