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붓다
한승원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왜 사는 것일까? 이 난해하고 고통스러운 질문에 대한 답이라 할까? “우리들이 살아가는 것은 그냥 살아가는 것이 아니고, 우리의 세상을 살아갈 만한 가치가 있는 세상으로 창조해 가는 것”, 그래서 어떻게 사는 것이 바로 그러한 것인지를 엿보게 해주는 이 작품에서 깨달은 이의 자유롭고 거침없는 충만한 생명력으로 눈이 환히 열리고, 왠지 모를 가슴 뿌듯한 만족감이 휘감아 도는 감동에 젖어든다.

장학사와 교장이셨던 할아버지, 그러나 주변 이들의 시선에는 비천하기만 해 보이는‘염장이’로 죽은 이들을 씻기며 살아간다. 그리고 손자‘상호’는 베트남 어머니를 둔 절름발이 고3 소년으로 아이들로부터 끊임없는 괴롭힘을 당한다. 이렇게 보면 소설의 축을 구성하는 이 두 사람에게서 사랑과 희망, 삶의 가치와 같은 미덕을 발견 할 수 있기나 할까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빚에 쫓겨 도피한 부모를 대신해 소년 상호는 이렇게 할아버지와 단 둘의 생활을 이어간다.

할아버지의 고물자전거와 그 뒤에 항상 실려다니는 꽹가리, 기력을 잃고 아픈 독거 노인들을 찾아다니며 침과 뜸을 떠주기도 하고, 나무 그늘아래 노인들에게 소리를 들려주며, 손수 마련한 쑥물로 주검을 정성으로 씻기는‘우주의 청소부’, 할아버지 안교장은 미래가 확보되지 않는 모든 존재를 소멸시키는 시간의 잔인함을 이해한 자이다. 그래서 줄곧 하여왔던 교육계에서 졸업을 하자 다른 새로운 일, 즉 자신만의 미래 시간을 만들기 위해서 새로운 새내기로서 실천의 길을 걷는다.“나는 낙엽이다. 떨어져 내려 어린 나무들의 뿌리를 덮어주고 있다가 점차 썩어 거름이 되어”주는 길....
손자 상호에게 그런 염장이 할아버지는 짓궂은 아이들이 그를 조롱하고 비하하는 이유이며, 신체의 취약성과 피부색의 차이는 반복되는 괴롭힘의 대상이 되고, 이들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는 무력감은 더욱 고통스럽게 한다.

소설은 이 두 사람의 삶을 매개하며, 또한 인생 덕목의 가치를 상징하는 억불 바위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억불산 자락아래에 있는 그네들 집에서 바라보는 자비로운 성상의 얼굴을 한 바위의 성스러움과 의기는 이들에게 의지이자 꿈과 희망의 가르침이다. 만인을 구제한다는 억불(億佛 ; People Buddha), 억불을 닮고자 하는 소년에게 할아버지의 모습, 무언의 삶의 행위에서 억불과 닮은 할아버지를 발견한다. 한 때 부와 권력을 가진 뭇 남성들과의 편력이란 사람들의 몰이해로 외면당하는‘송미녀’라는 노파의 병든 몸에 뜸을 떠주며 방치되고 포기된 그녀에게 사랑을 통한 삶의 의미라는 연민을 선물하며, 제자들과 베풂의 덕으로 모인 돈은 헐벗은 사람들을 위해 소용하는 염장이의 삶은 억불의 모습 그대로이다.

이 작품이 더욱 매력적인 것은 소년 상호의 세상에 나가기 위한 홀로 섬의 과정에 스며든 이야기들, 그리고 할아버지 안교장의 우주의 시원, 생명력의 본질에 대한 거침없는 철학적 담론들이라 할 수 있다.
악동들의 해코지, 인생 진로의 선택, 빙충맞은 자신을 응원해주는 2년 후배인 누님같은 순영과의 풋풋하고 순박한 사랑으로 설레는 모습이나, 억불바위를 오름으로서 의지와 삶의 목표를 확인하고 마침내 괴롭히던 녀석과 맞장을 뜸으로써 유약한 소년시절을 졸업하고 새로운 인생의 길로 나아가는 일련의 성장기는 손자의 우물 속으로 자신의 시간을 흘려보내는 할아버지의 보이지 않는 후원의 손길과 결합하여 인간의 성장에 대한 우리네의 관점을 한층 성숙시켜 준다. 
 

더구나 우주 성장의 시원(始原)으로서 여인의 배꼽이 의미하는 원초적 유혹과 인간성의 유지에 있어서 성적 쾌미의 가치, 산난초 꽃의 적갈색의 음험한 향기를 머금고 있었다던 연꽃, 혹은 환혹의 구멍, 그 젊은 날의 송미녀의 허방 노릇에 대한 찬양은 여신(女神), 아니 숭고한 억불의 경지에까지 올려놓는다. 하~아, 미녀의 허방은 억불의 자비라! 그리곤 염장이라는 죽음을 씻는 이의 허무의 마주함은 생명력을 더 자유롭고 헌걸차게 키워나가는 것으로서, 죽음의 이해가 곧 성숙한 삶의 요소임을 역설하기도 한다.

이처럼 염장이 할아버지의 모습은 억불의 현신(現身)이며, ‘나다니엘 호손’의 『큰 바위 얼굴』이자,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의 모습으로 읽히기도 한다. 또한‘알베르 카뮈’『페스트(흑사병)』의 주인공 의사‘리외’처럼 각박하고 쓸쓸한 세상을 치유하는 사랑과 희망, 자유의 화신(化身)이기도 하다.

한편, 자신의 성장을 확인키 위해 상호가 떠나는 다산 초당에서 백련사로 이어지는 무전여행의 여정에서 백련사 방장스님과의 조우 장면은‘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중 장돌뱅이 허생원과 동이의 오마주가 아닐까 하는 재미를 주는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었다는“그 늙은 스님의 갸름한 얼굴 윤곽, 쌍꺼풀 진 눈매,...”, “혹시 그 스님이 내 외할머니를 버린 그 한국군인 아니었을까”하며 ‘사랑과 배반의 슬프면서도 오묘한 역사’를 떠올리는 것은 이 소설의 사유가 달리는 그 폭과 깊이의 여정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승원 선생의 그 어떤 작품보다 관능적이지만 또한 그 어느 작품보다 숭엄함과 경외를 느끼게 한다. 모든 사람들이 가는 길은 결국 한 길이며, 한사코 느긋하게 무늬를 따라 순조롭게 풀어내야 하는 것이 삶의 순리이며, 줄곧 하던 일을 졸업하면 반드시 새내기가 되어야 한다는, 정말 “찬란한 슬픔의 봄”같으며, “고귀한 순정의 눈물 같은” 인생교본의 결정체라 하여야 할 것이다. 오묘하게 가슴을 저리게 하는 감동이 있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