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르부크 부인의 초상 샘터 외국소설선 4
제프리 포드 지음, 박슬라 옮김 / 샘터사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초상화는 화가 자신을 투영한다. 한 걸음 더 내딛어, 모든 초상화는 자화상이다! 라고까지 하면 억측이라 할까? 시각적 형상이 아니라 내면세계가 이전되어 전달되는 그 감상이라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런데 이를 조금 비틀어서 다시 정의한다면 초상화는 이미 왜곡된 이미지를 전제하고 있다는 의미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소설은 대략 1890년대쯤으로 추정되는 뉴욕 상류사회의 파티장면에서 시작되는데, 연회의 안주인(主人)‘리드 부인’의 초상화와 실제인물의 불일치에 대한 발칙한 서술과 이를 그린 당대 최고의 초상화가‘피암보’의 예술적 성취에 대한 자기회의로 작품의 전개방향을 일찌감치 제시한다.

부와 명성을 얻었지만 초상화라는 제한된 영역에 묶여 자신만의 예술적 창의성을 펼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고 내적 갈등을 겪던‘피암보’앞에 엄청난 계약금의 제안과 함께, 대상인물을 보지 않고 초상화를 그려달라는 야릇한 의뢰가 들어온다. 돈벌이 수단으로서의 초상화가가 아니라 진정한 예술성의 지향을 위한 충분한 경제적 토대가 되어줄 것이라는 기대로 황당한 이 계약을 수락한다. 병풍 뒤에 숨어서 들려주는‘샤르부크 부인’자신의 이야기들을 통해 보이지 않고, 볼 수 없는 여인의 초상화를 그리는 것이다. 병풍 뒤에 앉아있지만 상대자인 화가 피암보의 모든 것을 뚫어보고 통제할 수 있는 지위를 가진 샤르부크부인과 오직 목소리와 야야기의 내용을 통해서만 대상을 그려내야 하는 화가의 이 게임은 이미 불공정함을 내재하고 있다.

이미지 형상화를 위해 들려주는 샤르부크부인의 성장과 삶의 행적에 대한 이야기는 소설의 거대한 한 축이 되어 신화적 신비로움과 기묘한 궁금증을 야기하고 과거의 기억이 현실의 사건에까지 은밀히 조우하여 궁극에는 삶의 욕망이라는 본질에 와 닿으며, 볼 수 없는 존재인 샤르부크부인이라는 인물의  실제에 도달하려는 피암보의 갈망과 섞여 다양한 감성적 이야기들과 사건을 만들어내고, 여기에 긴장감과 의미적 풍성함을 위한‘피눈물 흘리는’여인들의 그로테스크한 죽음과 피암보의 신변적 위기와 같은 서스펜스까지 더해져 재미와 속도감이 배가된다.

특히 이 소설을 우아한 매력에 젖어들게 하는 요소인 당대 화가들의 등장은 지적이고 심미적 욕구까지 일깨우면서 인물의 성격을 강화하거나 사건의 전환을 위한 적절한 포인트로 작용하여 현실과 이상, 외형적 모습과 은밀한 내면의 이중성이라는 본원적인 인간 욕망의 모습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19세기말 상류사회 인물들의 초상화를 그린 인상주의 화가‘사전트’가‘피암보’의 스승으로 등장하여 역사적 사실성과 허구의 경계를 허물고, 예술적 성취를 위한 동경과 갈망을 자극하는 인물로서 표현주의의 대표적 화가인‘앨버트 라이더’를 통해 삶의 가치에 대한 현재성을 제고시키기도 한다.

실존으로서‘샤르부크 부인’의 외형적 형상화라는 초상화가 삶의 이야기라는 내면을 통해 재현되어야 한다는 이 대립은 사실‘눈’이라는 시각적 도구에 의지하는 우리로서는 혁명적인 인식의 전환, 가치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표피적 외형에 현혹되지 말라, 지금까지의 인식수단을 잊어라! 라는 것인데, 이에 대한 우리의식의 저항은 실로 대단히 관능적인 것이 아닐 수 없다. 보이지 않는 신비감에 대해 작동하는 상상력의 진화는 샤르부크 부인에 대한 피암보의 거부할 수 없는 욕망의 점진적 증대로 표현되는데, 이는 진실을 방해할 뿐이다. 눈에서 피를 흘리며 순간에 사망하는 연속되는 의문의 살인사건들은 진실을 왜곡하는 눈에 대한 복수의 행위이다. 이와 같은 은유는 바로 이 소설의 또 하나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서사의 두 축이라 할 수 있는 소설의 중심흐름과 샤르부크부인이 들려주는 환상적이며 동화같은 자기 삶의 이야기가 맞닿는 지점에 이르러 그 의미를 비로소 선명하게 이해하도록 견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쌍둥이 눈(雪)의 결정과 같은 이 작품의 뛰어난 은유들과 회화작품에 대한 지적 탐험, 눈(目)을 통한 가치와 인식의 왜곡과 진실에 대한 고뇌, 예술적 성취와 같은 삶의 이상에 대한 갈망이 정교하게 얽혀있다. 이처럼 닿을 것 같지 않던 사건들과 욕망의 갈등이 선회하면서 조우하는 귀결에 이르는 무결점의 완벽한 플롯은 이 소설의 또 하나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재미와 삶의 목적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같은 주제, 그리고 지적 풍미까지 넘치는 가히 예술소설의 여왕(女王)적 작품이라 하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0-09-06 15: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 부자연스럽게 아름다운 자태는 메트로폴리탄에서 가장 아름답고 유명한 그녀 아닌가요. 필리아 님 리뷰를 보니 막 궁금해지는군요!

필리아 2010-09-06 16:13   좋아요 0 | URL
네, 말 많았던 뉴욕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전시된 사전트의 '마담X'가 맞습니다. 어깨끈 하나가 흘러내린 본래의 그림을 지나치게 관능적이라 하여 수정하였다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