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물 검역소
강지영 지음 / 시작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경쾌하고 유쾌한 소설이다. 무엇보다 재미로 치자면 둘째가라면 조금 억울하다 할 만한 이야기다. 역사기록으로 추정하면 주인공 함복배가 출생한 시기는 1609년이 되고 벨테브레(박연)의 표류시점인 1628년과 소설이 끝나는 시기가 하멜일행이 또다시 제주에 표류하는 1653년이니 조선 중기 45년간의 세월을 담고 있다 할 수 있다.

배내 벙어리인줄로만 알았던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그저 울고 싶지 않았기에 울지 않았고 말하고 싶지 않았기에 말하지 않았을 뿐이라며, 열 살이 되던 어느 날 문득 말문을 틔우는 기이한 주인공의 모습처럼, 소설이 시작하자마자 불과 몇 쪽에 펼쳐지는 반전부터가 이 작품이 예사스럽지 않음을 암시한다.
한양 과거시험장에서의 자리다툼의 해프닝을 시작으로 말단으로 급제하여 제주도 ‘신문물검역소’라는 희한한 이름의 관청으로 부임하는 과정도 어설프기 짝이 없어 주인공 함복배의 인물됨을 한 눈에 알아버리게 한다.

재미의 삼박자는 바로 이 우스꽝스런 명칭의 ‘신문물검역소’와 표류한 서양인 벨테브레(박연)를 중심으로 한, 신문명에 대한 해학이 하나이고, 주인공과 제주관찰사 이상도의 여식 ‘연지’와의 러브라인, 그리고 연쇄살인사건이라는 의외성의 소재로 구성되어있다 할 수 있겠다.
어수룩하기 그지없는 약관(弱冠)의 신문물검역소장 함복배의 좌충우돌하는 인생기록이기도 하지만, 양반과 상놈, 지위의 귀천, 인종의 배타 등을 모두 불식시켜버리는 그의 포용력에서 작가가 말하고픈 인본주의와 평등을 읽을 수도 있다.
그리고 타자, 코길이에서부터 미호, 박연에 이르는 연민과 사랑의 의식은 비록 모두에게서 이해를 획득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속에서 자라나는 관심과 이해가 주변의 사람들을,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보여주기도 한다.

한편, 서사구조의 중추가 되는 혼례를 앞둔 처녀들만 살해되는 연쇄적인 살인사건은 등장인물들 모두를 범인으로 의심케 할 정도로 치밀한 크라임스릴러로 변신케 한다. 또한 21세기 오늘에도 경기(驚氣)를 할 남녀추니가 등장하는가하면 ‘기방 창(倡)’에서 벌어지는 반라의 정사와 마조히즘은 이야기 속으로 독자를 흡입해대는 강한 추동력으로 작동한다.  또한 불아자(不峩者), 곤도미(困導敉), 만앙경(曼坱景)하는 신문물의 그럴듯한 탐색과 함복배의 머리에 갓 대신 씌워진 불아자에서 조선시대 얼리 어답터(Early adopter)의 모습을 그려보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흥겨운 작업 중 하나이다. 
이처럼 이 소설은 흥겨움과 기이함이 발산하는 매혹, 청춘남녀의 그 기묘한 줄다리기식 사랑, 그리고 욕망의 끝이 보여주는 그 적나라한 범죄의 세상까지 아우르면서 우리를 17세기 조선의 제주로 상상력을 이끈다. 능수능란한 작가다. 코믹과 멜로, 서스펜스를 자유자재로 버무려내는 작가의 스토리역량이 돋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