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현수동 - 내가 살고 싶은 동네를 상상하고, 빠져들고, 마침내 사랑한다 아무튼 시리즈 55
장강명 지음 / 위고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고 싶은, 아니 삶을 사랑하며 살아 갈 수 있는 동네에 대한 바람의 글이라 해도 될 것 같다. 삶에 대한 시선이 물론 같을 수 없지만, 소설가 장강명이 함께 이루고 싶은 동네는 전망 좋고, 자전거 타기 좋으며, 산책로가 있고, 개들과 새들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으며, 도서관이 있고, 역사와 설화까지 있으면 금상첨화라고 말하는 곳이다.

 

이에 이르기 위해 그는 추리고 추려 역사에서 인물, 전설, 상권과 도서관에 이르는 일곱 가지의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현실 가능한 궁리를 펼쳐놓는다. 그것은 삶을 사랑 할 수 있게 해주는 동네라 정의 하는 듯하다. 제목에 표기된 현수동(玄水洞)’은 실제 행정 명칭에는 없는 곳이지만, 마포 광흥창역 일대라는 구체적 위치가 있는 동네의 가상 이름이다.

 

작가는 밤섬을 포함하여 마포구 현석, 신수, 구수, 서강, 하중, 창전동 일대를 가상동네인 현수동이라 부른다. 30대 중반 6년 동안 살며 그 일대를 사랑하게 된 사람의 지역 찬가일 수 도 있겠다. 그럼에도 이들 동네가 지닌 일곱 가지 궁리를 따라가다 보면, 광흥창역 일대가 아니어도, 보통 사람들의 평범한 삶을 기리며, 바로 그 자체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이 있는 곳이면 그 어느 곳이나 현수동이라 불러도 될 것이다.

 

이들 궁리를 말하는 각각의 제목은 작가에게는 없는 것이거나 두려워하고, 가본 적 없고, 질색하며, 모르는 사람이라는 수식어가 붙어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삶을 충만하게 하는 것들이란 사유가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미신을 질색하지만 하소연할 데 없는 사람들의 기원을 들어주고 그네들을 위무하는 마을 수호신을 모아놓은 부군당과 도당굿 전승의 가치를, 그 보존을 말하듯이.

 

또한 도시 서민과 빈민의 무참한 죽음을 야기한 와우시민아파트 붕괴 현장 어디에도 위령비가 없으며, 한국 사회가 이런 죽음들을 적극적으로 지워버리려 함을, 마치 일어나지 않은 척 하는 인간에 대한 무관심을 발견하며, 동네의 역사, 동네를 이루었던 대장장이, 메주 말리는 여인, 양 치던 소년 등 보통 사람들의 동상과 목상이 보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눈을 마주칠 수 있는 있는 곳에 편하게 설치된 곳을 상상한다.


 


이름도 낯선 조선조 양반의 아호는 남아 지명이 되고, 정작 지배당하고 살던 대부분을 차지하던 갑남을녀들의 삶의 현실은 지워버리는 그런 위계와 권력의 언어가 더 이상 주장되지 못하는 세상을 향한 궁리이기도 할 것이다. 지명이나 동네 이름에 전승되는 이야기들은 그 완성도가 심히 떨어지거나 아귀가 잘 맞지 않는다고 한다. 바로 이러한 어설픔과 모순의 이야기 자체가 피지배민인 백성들의 신산한 삶의 비극성의 반영이며, 꿈같은 이야기로나마 타협하려 했던 그네들 심정의 표현이었기에 부득이한 불완전성, 미흡한 모방이었으리라는 것이다.

 

권력과 자본의 폭력이 행사된 1968년 밤섬의 폭파 제거 행위는 여의도 개발을 통한 막대한 사익을 챙기기 위해 홍수 방지 명분으로 강행된 사건이다. 이로 인해 오랫동안 이곳을 거주지로 살아가던 사람들이 쫓겨났다. 그렇게 사라졌던 밤섬의 남아있던 수면 아래 암석에 해마다 토사가 쌓여 이제는 폭파 전보다 큰 섬이 됐다. 그리곤 생태경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고, 람사르 습지로 등재되기까지 하며 보호되는 장소가 되었다. 인간들의 몰염치에 의한 파괴는 자연의 힘, 시간의 힘에 의해 되돌려진다. 오만한 한 줌의 권력도 존재할 수 없는 세상을 꿈꾸는 것이 결코 불가능한 것이 아니잖은가!

 

작가는 공공도서관을 동네의 커뮤니티 공간이자 자유롭게 타인의 사상과 마음을 읽고 나누는, 꿈꾸는 이상적 마을의 필수 시설로서 역설하기도 한다. 그리곤 부록인 초단편 소설인 현수동의 아침주인공인 강아지 새롱이의 산책에서 마주하는 평온한 일상의 모습을 통해 반려견과 함께 자유로운 산책이 가능한 지역을 꿈꾸기도 한다.

 

사실 공동체에 대한 이해에는 항상 갈등이 따른다. 어찌 획일적으로 동일한 취향과 요구만 있겠는가.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며 정신의 교류를 하는 동네라면 슬기로운 협의가 가능할 것이다. 가벼운 마음으로 작가가 전하는 현수동의 각 장소에 깃든 설화에 귀 기울이고, 도시의 미래에 대한 소견을 들어보며, 우리의 동네, 우리들의 세상은 어떤 것이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상상의 나래를 펴보는 시간이 된다. 아마 그의 궁리들은 보통사람들의 이해를 그리 벗어나지 않는 푸근하게 공감하며 읽어나갈 수 있는 그런 희망의 이야기들일 것이다.

 

아 참, 작가는 그의 기 발표되었던 뤼미에르 피플의 속편으로 밤섬 새 당주가 등장하는 모험의 이야기로, 가제(假題) <시간의 언덕, 현수동>을 예고하고 있다. 발표된 많은 단편과 장편 소설에는 현수동이 직접 또는 간접적 이미지로 등장하고 있다고 한다. 아마 새해 벽두를 연 이 책을 읽고 나면 작가의 인간미와 친근함 탓에 그의 소설로 다가가게 할지도 모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