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루시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3
저메이카 킨케이드 지음, 정소영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11월
평점 :
어쩌면 오늘의 우리는 상상력 부재의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타인이 느끼는 감정에 대한 이해의 무지가 도처에서 날뛴다. 오직 자기중심주의의 오만이 설쳐댄다. 타인의 상황에 대한 상상력의 빈곤, 무관심과 철저한 무지. 아니 혐오와 위협과 배제, 절멸을 외쳐대기까지 하고 있으니 말이다. 서인도제도의 작은 섬, 유럽 제국주의의 식민지가 되어 수치심과 굴욕의 삶을 강요당했던 한 인간의 분노와 이 굴레로부터 벗어나려는 내적 자유의 권리를 향한 자기 성찰의 분투기인 이 작품을 읽게 된 동기라 하겠다.
직접적 계기는 ‘리베카 솔닛’이 《맨스필드 파크(Mansfield Park)》를 쓴 ‘제인 오스틴’의 시선에 대한 무감각, 혹은 무지에 대한 비판이라 하겠다. 그것은 소설 속 영국인들의 풍요롭고 안락한 삶과 식민지에서 착취당하는 노예들의 노동과 그 피맺힌 산물을 연결시키지 못하는 몽매함과 무관심에 대한 지적이다. 백인 사회가 칭송하는 19세기 제국주의 영국 계관시인 ‘윌리엄 워즈워드’의 시 〈수선화〉의 그 무심한 아름다움의 관조가 “실제로 보지도 못할 꽃을 노래한 긴 시를 열 살의 나이에 암기해야했다”는 피정복민의 비통함과 왜 연결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앎의 일깨움이다.
열아홉 살 여자아이 ‘루시’는 수치와 굴욕으로 점철된 지긋지긋한 경멸의 세계인 고향을 떠나 자기 안을 점령한 타자의 관점이라는 위협을 떨쳐내려 대양을 건넌다. 부유한 상류 집안의 입주 보모가 되어 그들의 관찰자이면서 자기 내면의 변화, 즉 열린 미래를 찾기 위해 고정된 기대를 벗어나 내면의 확장을 위한 치열한 내적 전쟁을 치른다.
집의 안주인 ‘머라이어’가 아름다움을 보는 곳에서 루시는 비통함과 원한만을 본다. 그녀는 “워즈워드의 시 〈수선화〉를 내 마음에서 그 시 한 줄 한 줄, 단어 하나하나 남김없이 모두 지워버리겠다고 맹세했”었던 기억을 들려준다. 지배자의 여유와 관조의 시선 뒤에 무엇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소설의 축을 이루는 제재는 이처럼 사람들이 당연시하고 있는 안락과 풍요의 이면에 감추어져 드러나지 않는 사람들의 고통과 울분이 있음을 줄 곧 현시(顯示)한다. 그리고 또 다른 축은 ‘엄마’로 상징되는 내적 검열관으로서의 비존엄의 그림자를 떨쳐내고 온전한 주체로 성장하려는 여자 아이의 새로운 정체성을 향한 걸음일 것이다.
머라이어와 루이스라는 가족에게서 발견되는 일견 견고하고 진실해 보이는 것의 위선, 그것에 내재된 폐허성에 대한 깨달음, 자아성찰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머라이어의 관대함, 자신의 양면성에 대한 자각들, 남자들과의 관계에서 열리는 자기 몸과 정신의 반응들이 지면을 채워나간다. 이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제한했던 선택지들을 확장해 나간다. 그것은 나의 필요가 상대의 바람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이기도하며, 삶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허위의 발견이고, 박물관에서 보게 된 프랑스 남자가 그린 그림으로부터 세계의 규칙을 자의적으로 조종하는 남자들의 권력의 편향성이며, 자기 삶에서 쫓아내 버릴 수 있으리라는 경멸의 편재(遍在)이기도 하다.
그것은 경멸해 마지않았을 그럴 여자들이 낼 법한 즐거운 척 꾸며대는 깔깔거리는 웃음소리를, 한 남자에 대한 욕망으로 자신이 동일한 웃음을 짓는 것처럼 성적 성숙에 대한 각성으로 드러나기도 하며, 엄마같은 보호의 손길을 주었던 머라이어에 대한 고마움의 발견이기도 하다.
자유를 향해 가는 길은 “누구는 재물을 얻고 누구는 죽음을 얻”듯이, 자신에겐 분노와 절망, 기억이라는 직감, 화가의 방식으로 자신을 새로 만들고 있음의 이해에 이른다. 루시퍼를 줄여 루시라고 지어진 이름, 신의 자식인 악마, 그래서였을까? 그녀는 “음식이나 생명이 꺼져버린 여러 존재의 사진을 찍어 잡지사에 파는” 스튜디오의 허드레 작업자로 취직한다. 실재 자체보다 더 흥미로운 실재를 찍는 사진. 자기만의 시선이 응축된 사진을 찍는 한 인간의 목소리가 책의 전편을 눈물의 얼룩이 되어 가득 번진다.
그녀는 머라이어가 준 공책에 ‘루시 조지프 포터’라고 자신의 이름을 당당하게 적을 수 있게 된다. 그녀가 적어 넣는 소설의 마지막 문장, ”사랑해서 죽을 수 있을만큼 누군가를 사랑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문장에 수치스러움으로 하염없이 우는 장면은 어쩌면 그 굴욕의 얼굴을 보았음, 즉 자아성찰을 끝냈음의 의미일지도 모르겠다. 세상 대부분의 불행에 책임이 있는 정확한 방식을 안다고 자처하는 우리들은 정작 그 책임에 눈감고 모른 체 하거나 아예 알려고도 하지 않으며, 인식 자체가 없기도 하다.
빈곤해진 상상력, 그것이 지시하는 곳을 바라볼 수 있기를 외치는 주인공의 목소리가 처연하게 흐르는 이 소설에 빠져들 수 있었던 이 시간을 고맙게 생각하게 된다. 우리들이 지닌 선함과 상냥함, 안락한 환경이 우리들의 눈앞에서 사라져가는 것들과 관계가 있음을, 그 연결됨의 상상력을 깨워내야 할 시간인 것만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