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의 마법사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디지털 시대의 마법사들 - 융합과 혁신으로 미래를 디자인하는 MIT미디어랩 이야기
프랭크 모스 지음, 박미용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언제나 우리를 설레게 한다.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등장했던 첨단 기술과 신경과학에 대한 내용을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놀라웠을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 구부러지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유리를 모니터처럼 쓸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거나, 개발 중이라는 기사를 본 사람이라면 이제 이러한 기술들이 언젠가 우리앞에 나타나겠구나 하고 기대할 것이다. 어렸을 적에 보았던 21세기에 관한 공상과학만화 속 현실처럼 갑자기 "짠" 하고 등장하진 않았지만 어느사이에 우리곁에 익숙한 기술로 다가와 있음을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느끼고 있다.

 

어제 읽었던 "포스트 스마트 폰, 경계의 붕괴(위즈덤하우스/김지현 저)"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 기술, 그리고 SNS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었다면, 오늘 읽은 "디지털 시대의 마법사들"은 혁신의 선두에 서 있는 MIT의 미디어랩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야기를 다룬 책이다. 아직 우리 주변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은 아니어서 익숙하진 않겠지만, 한번 쯤 영화나 뉴스를 통해 접해본 아이템들이 등장했기 때문에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기술에 관한 책이니만큼 조금은 딱딱하거나, 또는 학술적인 이야기로 가득차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했지만 그건 기우였다. 이 책 전반을 덮고 있는 핵심은 바로 "휴머니즘"과 "열정", 그리고 "긍정의 에너지"였다. 먼저, 이 방대한 연구소는 많은 기업들의 간섭없는 후원아래 이루어진다. 기업의 주문에 의한 기술 개발이 아닌 개발자들의 아이디어와 창의력에 기반한 연구인 것이다. 기업들은 미디어랩에서 발명된 기술과 지적재산권을 자유로이 이용함으로써, 그 후원에 대한 대가를 얻는다. 레고의 마인드스톰 로봇이나 안전한 에어백, 그리고 편안한 의족 등이 바로 그 산출물의 예이다.

 

미디어랩은 또한 개발자들에게 자유로운 연구 활동을 보장한다. 그리고 아이디어로만 그치는게 아니라 직접 시연하고 제품을 만들어보게 한다. 각종 도구와 기계, 첨단 과학 장비를 통해 개발자들은 자신이 생각했던 것들을 직접 만들어볼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잦은 실패와 시행착오를 거쳐,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고, 판매 가능한 제품으로서 시장에 나오게 된다. 학과제를 폐지하고, 자유로움과 재미를 보장하는 - 이건 개발자들 스스로가 자유로움과 재미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간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분위기 속에서 미디어랩에서는 우리가 상상하지 못했던, 또는 미리 안될꺼라고 단념했었던 아이디어에 대한 다양한 산출물을 만들어낸다.

 

이들은 거부당하고, 안될꺼라고 생각한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진정한 개발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를 가능케하는 것이 바로 열정과 긍정의 힘이다. 131페이지에는 이를 "고된 즐거움"이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이들에게 딱 어울리는 말이다. 실제로 책에 소개되는 다양한 사진들과 사례들은 이들이 이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즐기고 있는지를 알수있게 해준다.

 

마지막으로 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중의 하나가 바로 "휴머니즘"이다. 가족과의 대화, 단절된 사람들과의 연결, 장애인들의 불편함을 해결해주자는 문제의식에서 수많은 기술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자폐증 치료를 위한 모니터링 과정이나, 휴머노이드 로봇의 개발 등은 차가운 금속으로 보여지는 미디어랩의 따뜻한 마음을 엿볼수 있게 한다.

 

책을 읽으면서, 아직 우리 주변에서 익숙하게 볼수 없었던 것들이 많아 조금 거리감이 느껴졌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언젠가는 스마트폰처럼 우리 주변에서 일상적인 기술과 제품으로 다가오지 않을까란 생각도 해본다. 어렸을적 읽었던 과학만화속 장면들이 자연스레 우리 주변에서 오버랩되듯이 말이다.

 

"호기심이 왕성한 사람들은 많지만 자신의 호기심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혁신가"는 적으며, 자발적 동기로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젊은이들은 많지만 실패해도 포기하지 않고 자발적 동기를 꾸준히 유지하면서 성공할때까지 몰입하는 "창의적인 리더"는 많지 않다."      - 서문 중에서(정재승 교수)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5-27 09:45   URL
비밀 댓글입니다.